[뉴스토마토 송주연기자] 기업회생절차(워크아웃)를 밟고 있는
쌍용건설(012650)의 경영정상화가 난항을 겪고 있다.
실사 후 눈덩이처럼 불어난 지원규모를 두고 채권단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어 또 다시 정부가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채권단은 3일 채권단 회의를 열고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날 하나은행, 신한은행 등 주요 채권은행들과 함께 쌍용건설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지난달 26일 우리은행 본점에서 실시한 채권금융기관 회의에 이어 두 번째 논의 자리다.
쌍용건설 신규지원에 적게는 6800억원, 많게는 8000여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지원방법을 놓고 채권은행간 의견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6일 열린 쌍용건설 경영정상화 논의 자리에서 쌍용건설 실사를 맡았던 회계법인 삼정KPMG는 360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다.
문제는 3600억원의 신규 운영자금 지원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
유동성 지원을 위한 운영자금 3600억원을 포함해 해외영업활동을 위해 새로 설정된 해외 공사 보증금 2400억원, 추가 출자전환금 1500억원, 군인공제회가 요구하는 남양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금 585억원을 합치면 지원규모는 8085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지난달 이미 지원을 약속한 출자전환금 1700억원을 더하면 쌍용건설 지원에 무려 9800여억원이 투입되는 셈이다.
약 1조원의 막대한 자금 공급이 필요한 만큼 채권단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군인공제회를 설득하는 등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캠코는 물론 군인공제회쪽과도 계속 협의 중"이라며 "섣불리 밀어붙였다가 잘 안되면 더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조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은행 등 채권단은 쌍용건설의 최대주주였던 캠코가 쌍용건설 경영과 지분 매각에 관여한 만큼 출자전환에도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출자전환은 채권단이 쌍용건설에 대한 대출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성사되면 그만큼 부채를 줄일 수 있다.
캠코는 쌍용건설 지원을 위해 지난해 9월 쌍용건설이 발행한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700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우이동 PF 사업장을 담보로 한 지원이었다.
채권단은 당초 이 ABCP를 무담보 기업어음(CP)으로 전환한 후 이 채권을 다시 캠코가 사들여 출자전환에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공사법상 캠코는 담보채권에 출자전환을 할 수 없으므로 무담보 채권으로 전환해 출자전환에 나서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채권단은 캠코에 CP 인수가 아닌 영구 전환사채(CB) 인수를 요구하고 있다.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영구 CB를 인수해 700억원을 지원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캠코는 지원 불가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이미 부실채권정리기금이 청산됐는데 이제와서 다시 논하는 건 무리가 있다"며 "공사법상 CB인수를 통해 특정 기업을 지원할 근거가 없는 만큼 이같은 뜻을 채권단에 개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캠코는 지난 30일 채권단에게 정식공문을 발송해 CB인수 불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남양주 PF 대출금 상환을 놓고 군인공제회와의 갈등도 채권단에게는 골칫거리다.
지난 3월 만기가 도래한 남양주 PF 대출금은 원금(850억원)과 이자(290억원)를 합해 총 1140억원이다.
채권단은 전액 상환 유예를 요청한 반면 채권협약 의무가 없는 군인공제회는 1140억원 중 절반 수준인 585억원의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
군인공제회와의 협상이 타결될 경우 채권단은 약 600억원의 지원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이 역시 녹록지 않다.
채권단도 아닌 군인공제회가 특별한 이유 없이 PF대출금 전액을 상환유예 할 경우 감사원 감사시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쌍용건설 노조위원장은 "채권단의 요구대로 캠코가 지원하고 군인공제회가 대출금 상환을 유예해준다면 채권단의 신규지원 규모는 7000억원을 넘지 않겠지만 서로의 입장차가 극명해 쉽지 않아 보인다"며 "자칫 정부에 공을 넘기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채권단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채권단이 지원에 동의하기까지는 당초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오늘 채권은행이 모여 캠코, 군인공제회 문제 등을 모두 논의할 예정"이라며 "늦어도 10일까지 채권은행 동의 절차를 마칠 계획이었지만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