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창신동의 골목길. (사진=문정우기자)
[뉴스토마토 문정우기자] "여기 성곽쪽으로 가다 보면 어려운 사람들 너무 많다." (창신1동 주민 김모씨)
차량이 통과할 수 없다는 표지판과 함께 상당히 가파른 골목길이 보인다. 오르막에 지친 노인들과 원단을 실어 나르는 오토바이들이 힘겹게 이동한다
차량진입이 어려운 곳. 도시가스도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곳. 삭막한 쪽방들이 즐비한 이곳. 27일 찾은 서울의 도심 종로구 창신동의 모습이다.
외국인 관광객으로 붐비는 동대문 인근에 위치해 그 모습은 더 대조적이다.
◇서울 창신동 등..뉴타운 해제구역 주거개선 시급
이 곳은 지난 2007년 4월 뉴타운 지구로 지정되면서 헌집과 쪽방촌이 새집으로 바뀔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하지만 부동산 침체와 고도제한 등 다양한 문제가 얽히면서 사업이 지지부진해졌고, 주민들은 힘든 세월을 겪어야만 했다.
6년이 흘러 지난해 9월, 창신동과 숭인동 일대의 뉴타운 지구지정이 해제됐다. 주민들의 동의로 이뤄진 결과다. 이후 서울시는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를 하는 등 행정절차를 밟아왔다.
그러나 주민들의 마음은 한 겨울이다.
창신동 주민 이모(70·남)씨는 "여기 사는 사람들 너무 힘들어. 난방이 안되는 집들이 수두룩해. (야간에) 집으로 가는데 길도 어둡고 좁아 무섭지"라며 주거환경에 대한 불만을 언털어놨다.
이 곳 주민들은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약국을 운영하는 박모(60·남)씨는 "주민들은 깨끗한 환경에서 살고 싶어한다. 그런데 길도 좁고 도시가스도 제대로 안들어 와 더 힘들다"며 "차라도 들어올 수 있어야 집을 고치든 말든 할텐데"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 곳에는 인근 동대문 시장으로 납품하는 봉제 공장이 골목마다 위치해 있다. 따라서 시가 이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해 향후 사업을 추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박씨는 "창인동과 숭인동 골목길에 대부분이 봉제공장들"이라며 "이 공장들이 없으면 인근 음식점 등 생계가 위태로워 진다. 재생사업이 진행되면 이 곳에서 영업하는 상인들의 목소리도 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어떤 방식이든 (주거환경이) 나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하소연했다.
◇시, 주거재생에 1조원 투자..맞춤형 재생사업
서울시는 뉴타운 갈등을 해소하고 지역발전과 연계한 도시주거재생을 위해 1조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맞춤형 재생사업이 진행되기 위한 서울형 재생기구도 전환 설치된다.
이날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 같은 내용의 도시주거재생 비전을 창신2동 주민센터에서 발표했다.
박 시장은 "사람이 중심이 되는 활력이 넘치는 주거환경 조성으로 지역의 가치를 높이겠다"며 "오늘은 주거재생 미래도시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언한 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된 주거재생 방식은 기존 뉴타운·재개발을 넘어 물리적 정비와 함께 사회·경제 등이 연계된 개념이다.
시는 면 개념의 생활권 단위 주거지를 종합적으로 정비·보전·관리할 계획이다. 그간 뉴타운·재개발이 점적인 구역별 사업추진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일자리, 지역자원을 활용한 정체성 보전 등의 요소를 함께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또 안전인프라, 공원 등 지역에 필요한 생활기반시설의 확충도 생활권 단위로 주거환경을 진단해 이뤄진다. 주거환경은 안전성·편리성·쾌적성·공동체의 지속성 등에 따라 평가된다.
시는 통합적 도시주거재생으로 삶의 질과 지역가치가 높아지며 지역 불균형이 해소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1조원 규모의 재원과 서울형 재생기구도 설치한다.
시는 도시개발, 주택사업 등 산발된 조직을 종합해 특별회계와 국고보조 등을 반영, 4년 간 1조원 규모의 재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재원은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와 공공이용시설 확충 ▲성곽마을 등 역사가치 보전 ▲전통시장 관리, 일자리 육성 등 경제 활성화 지원 등에 투자된다.
여기에 기존 개발·정비 위주의 각 분야별 시 조직이 서울형 재생기구로 전환 설치된다.
이로써 기존 조합과 민간기업간의 협의 방식이 아닌 재생기구가 계획부터 관리, 시행 등을 총괄해 통합재생을 실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시는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며 역세권 인근은 용적률을 완하하는 등의 유연성을 발휘해 운영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소외·낙후된 지역을 정비해 지역브랜드 가치를 높이며 물리·사회·경제적 통합재생을 실현하는 것이 시의 도시주거재생 비전"이라며 "시민의 삶과 서울의 미래를 담는 통합과 공유의 재생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 종로구 창신2동 주민센터에서 도시 재생과 관련해 발표하는 박원순 서울시장. (사진제공=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