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렌트유 생산량 급감..영국, 대책 마련에 '잰걸음'

입력 : 2014-03-30 오후 3:00:48
[뉴스토마토 양지윤기자] 북해지역 대륙붕 노후화로 최근 석유·가스 생산량이 급감한 영국이 대책 마련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석유와 가스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개별 기업들에 대한 운영권 및 관리권 권한을 강화하는 한편 정부는 민간 기업에 대해 재정지원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영국 정부의 지원책을 통해 향후 20년 내 30~40억 배럴의 신규 유전을 발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생산성 증가와 인프라 공유, 기존 생산시설 활용기간 확대 등을 통한 경제적 효과가 2000억 파운드(한화 355조22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30일 외교부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에 따르면, 영국은 지난 2011년 기준 일간 석유 수입량이 약 100만 배럴로, 수출량인 83만 배럴보다 17만배럴 많았다. 영국은 지난 2000년대 초반 석유 순수입국으로 전환한 뒤 지난 3년간 석유와 가스 생산량이 38% 감소했다. 이는 북해지역 대륙붕이 노후화되면서 석유와 가스 생산량이 감소한 데 따른 결과다.
 
문제는 북해 석유개발 사업이 영국 경제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영국 석유 기업들은 지난 2012년과 2013년도에 약 65억 파운드, 우리 돈 11조5449억원에 해당하는 법인세를 납부했다. 전체 영국 법인세의 15%를 차지하는 규모다.
 
고용이 차지하는 비중도 막중하다. 석유·가스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고용된 노동자만 45만명에 달한다. 영국 정부가 북해지역의 석유·가스 생산량 감소에 대해 마냥 손놓고 있을 수 없는 처지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 우선 민간 기업에 대한 운영과 관리권을 강화하기로 했다. 민간 기업들의 컨소시엄 미팅에 참여하는 한편 민간 기업들 간 분쟁 발생시 해결권을 부여했다. 필요에 따라 운영권 박탈 권한도 부여하는 등 민간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방식으로 생산량 증대를 독려하고 있다.
 
향후 30년간 정부와 민간기업이 생산 최대화 전략을 공동으로 수립, 진행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다만 경쟁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기업간 협업을 유도한다는 기조는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가 민간 기업에 대한 재정도 지원한다. 석유기업의 탐사, 개발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제공하고, 노후화된 생산시설 해체에 대한 세제혜택을 주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밖에 정부와 유전개발권 계약 체결시 정부정책 협조의무를 계약내용에 포함하는 한편, 인프라 활용과 관련 여타 기업들과 공유하고 지역 허브도 운영한다는 전략이다. 민간 기업들의 탐사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권도 허용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영국 정부의 지원책을 통해 향후 20년 간 유발되는 경제효과가 2000억 파운드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안대로 추진된다면 30~40억 배럴 규모의 신규 유전을 추가적으로 발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정부와 기업, 기업 간 협력 강화는 생산성 증가는 물론 인프라 공유, 기존 생산시설의 활용기간 연장 등의 부수적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 관계자는 "북해 석유개발 사업이 경제 전체에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영국 정부는 북해지역 석유·가스 생산 감소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경제회복은 물론, 장기적 지속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인식이 강하다"면서 "정부 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경우 2000억 파운드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양지윤 기자
양지윤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