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경화기자] 부비동염(축녹증)이 환절기 소아·아동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위가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비동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563만8380명이었다. 이중 9세 이하 소아·아동은 178만2654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31.62%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 인구수를 고려해 분석하면 10만 명당 9세 이하 진료인원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3만9869명, 3만7657명으로 나타났다.
◇부비동염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2012년).
장정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9세 이하 소아·아동의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약해 감기에 더 잘 걸리기 때문에 부비동염 또한 더 많이 발생한다"며 "부비동의 입구가 성인에 비해 작기 때문에 코의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더 좁아지는 것도 소아·아동에게 많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개년도 부비동염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대체로 3, 4월과 12월에 많고 8월에 가장 적었다.
장정현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 환절기가 되면 감기에 더 많이 걸리기 때문에 3, 4월에 진료인원이 많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진료형태별 부비동염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외래와 약국의 비중이 크고 입원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12년 기준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4753억원이며, 진료형태별로 외래는 2411억원, 약국은 1933억원이었고 입원은 409억원이었다.
2012년 부비동염으로 인해 입원한 인원 중 9세 이하는 수술 진료보다는 비수술 진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 입원 진료인원 중 수술 진료인원은 비수술 진료인원의 6%이고 진료비는 11%인 반면 10대 이상 다른 모든 연령에서는 수술 진료인원이 비수술 진료인원보다 많았다.
장 교수는 "소아는 성인과 달리 코 안의 조직들이 성장하는 단계에 있으므로 수술적인 치료에 의해 조직의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부비동 자체도 발육이 미약하므로 수술에 의한 외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장기적으로 얼굴뼈의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아는 수술 보다는 비수술 진료가 많다"고 전했다.
그는 또 "부비동염으로 인한 심한 합병증이 있다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을 진행해야 하나, 일반적으로는 비강 구조의 발육이 완성되는 17세 정도 이후에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조언했다.
◇부비동염 환자 내시경 검사 사진.(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제공)
장 교수에 따르면 부비동염의 원인은 바이러스성 비염(코감기) 이후 세균 감염, 알레르기, 치아 감염, 외상, 해부학적 기형 및 이상, 코 안의 물혹, 비강 내 이물질, 섬모운동 이상, 점액분비 이상, 곰팡이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증상은 고름 같은 누런 콧물, 목 뒤로 넘어가는 콧물, 코막힘, 기침 등을 호소하며 더 진행할 경우 발열, 냄새를 잘 못 맡거나, 안면 부위의 통증과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법은 항생제 치료가 주된 방법이다. 급성의 경우 약 10일에서 길게는 3주 이상까지, 만성의 경우 4~6주 정도 항생제를 투여하며 매일 생리식염수를 이용, 코 점막을 세척해 점막에 수분을 공급하고 분비물을 제거해 주는 것 역시 좋은 치료 방법이다. 비점막 수축제, 항히스타민제 등도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무분별한 사용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해 사용해야 한다.
만성 부비동염(부비동염의 증상이 1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있어서 약물 치료와 비강 세척과 같은 보조적 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 CT 촬영상 비강이나 부비동에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수술 방법은 부비동 내시경 수술로서 코 안으로 내시경을 집어넣어 부비동을 관찰하면서 병소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급성 부비동염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 비염(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이를 적절히 치료하지 않을 경우 만성 부비동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환절기에 외출 후에는 손발을 잘 씻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감기나 급성 부비동염이 발생한 경우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