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미래부, 3D프린팅 산업 육성..2020년 세계 시장 15% 달성

입력 : 2014-04-23 오전 11:00:00
[뉴스토마토 최병호기자] 정부가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는 3D프린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전전략을 내놨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제조업 혁신과 창조경제 육성의 내용을 담은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을 공동 수립하고 이날 오후 열릴 제5차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 상정해 확정한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3D프린팅 산업은 미래 유망 핵심기술로 꼽히며 세계 시장규모가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21년이면 108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고가 산업용 장비와 소재의 90%를 수입에 의존하는 등 시장규모가 미미한 상태.
 
이에 산업부와 미래부는 3D프린팅 산업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을 펼치고 이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업 5개 양성, 세계시장 점유율 15%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심진수 산업부 전자전기과장은 "이번 전략은 수요 연계형 성장기반 조성,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 기술경쟁력 확보, 법 제도 개선 등이 주요 내용"이라며 "3D프린팅은 제조업을 혁신해 창조경제 신시장과 양질의 고용을 창출할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기존 산업현장에서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제조공정을 혁신할 수 있는 지원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영세·중소기업에는 '찾아가는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운영하고 일반인이 3D프린팅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무한상상실 등을 운영하기로 했다.
 
또 3D프린팅이 소규모·맞춤형 생산과 아이디어 기반 창업에 적합하다는 점을 활용해 응용산업별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기획과 사업화, 마케팅 등 창업 전 주기를 지원하는 소자본 창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마트폰의 앱스토어처럼 '3D프린팅 디자인스토어'를 만들어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운영하는 계획도 추진된다.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플랫폼 개념도(사진=산업통상자원부)
 
취약한 국내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비와 소재, 소프트웨어 등 주요 분야별 기술개발 로드맵을 올해 하반기 중 마련하고, 메디컬 임플란트용 생체친환경 소재처럼 개발된 소재가 장비에 바로 연계되는 소재-장비 연계형 기술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그밖에 3D프린팅 관련 장비와 소재의 성능과 안전성을 평가·인증하는 체계도 마련해 국산 제품의 공신력을 강화하는 등 제도 개선사항도 지속적으로 발굴·정비할 계획이다.
 
심진수 과장은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토대로 산업부와 미래부가 주축이 된 '3D프린팅 산업 발전협의회'를 구성하고 계획이 차질 없이 수행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최병호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