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가게 문을 닫은 영세 자영업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여파가 세월호 참사 이후 겨우 회복되기 시작한 소비심리에 찬물을 끼얹었기 때문이다. 특히 예술·스포츠·여가 등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종업원 등을 두지 않고 혼자 일하는 영세 자영업자의 수는 397만5000명으로 전년(408만2000명)대비 10만7000명 줄었다.
이는 바로 한해 전인 2013~2014년 상반기 사이 하락 폭(2만2000명)에 견줘 4.86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다.
식당·미용실·옷가게 등을 홀로 또는 가족 단위로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경기 부진의 최대의 피해자가 된 셈이다.
이는 지난 5월20일 첫 메르스 확진자 발생 이후 나타난 6월 한달 간의 경기후퇴가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기간 메르스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서비스업을 보면, 예술·여가·숙박·음식점 등 소규모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분야 위주로 생산이 크게 감소했다. 이들 분야의 전월대비 생산이무려 13.5%나 감소했고, 숙박·음식점과 운수 등에서는 생산이 각각 9.9%, 5.6%씩 하락했다.
영세자영업자들은 국민들의 바뀐 소비패턴에서도 피해를 입었다. 6월 서비스업은 생산과 함께 소비도 3.7%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추세는 특히 외부활동을 꺼리는 이 기간 분위기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6월 오프라인 거래액이 29조3450억원으로 전달대비 2조1350억원(6.8%) 줄어든 반면 온라인 거래액은 4조4340억원으로 1800억원(4.1%) 늘었다. 오프라인 소매판매가 온라인으로 옮겨간 것이다.
한편 영세 자영업자들의 잇따른 도산은 국내 자영업 구조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동안(2012년 제외) 73% 이상을 유지해 온 전체 자영업자 대비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비중이 올들어 처음으로 71%까지 떨어졌다. 이는 영세 자영업자들이 폐업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자영업자 수는 오히려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가 '메르스 추경'이라며 내놓은 대책에서 영세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전체 추경 예산(11조8000억원) 가운데 영세 자영업자 경영안정자금 예산은 총 7100억원으로 6%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련 지적에 대해 정부는 "정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피해규모를 산정하기 어렵다"며 선을 그었다.
방글아 기자 geulah.b@etomato.com
본격적인 휴가철에 접어든 지난 2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