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트렌드)한국 경제, 신흥국 성장둔화 시대에 대처해야

중국 성장률 하락이 주 요인…내수성장 강화 요구돼

입력 : 2015-11-11 오후 1:20:08
[뉴스토마토 남궁민관 기자] 그동안 고성장률로 세계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던 신흥국들이 최근 부진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 중심의 국내 경제가 내수기반 성장을 도모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LG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신흥국의 '신흥' 시대 끝났다' 보고서는 신흥국과 선진국의 성장률 격차가 지난해 2%포인트 대로 빠르게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즉 중국경제의 성장둔화와 지난해 이후 러시아, 브라질 등의 경기 후퇴로 신흥국 경제의 고성장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신흥국 부진의 원인으로는 ▲선진국 경기 파급력 약화 ▲중국의 투자율 하락 ▲글로벌 분업구조 성숙화 ▲원자재 가격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면서 신흥국 역시 활력이 저하됐다고 분석했다. 선진국들은 2000년대 중반 경제 성장을 이끈 부채 확대가 금융위기 이후 부메랑으로 돌아오면서 경기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고령화와 노동생산성 부진 역시 경기 회복속도 저하에 영향을 주고 있다. OECD 회원국 기준으로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초반 13% 수준이었으나 최근 16%까지 상승했다
 
또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의 경기파급력 자체도 약화됐다. 경기확장기에 선진국은 신흥국으로부터 수입을 늘여 신흥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최근 그 연결고리가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선진국 경제성장률과 신흥국의 대 선진국 수출 사이 상관계수는 2006~2010년 0.68이었으나 2011~2015년 1분기에는 0.26으로 감소했다.
 
중국경제의 구조변화에 따른 성장세 둔화도 신흥국 부진의 주된 요인이다. 그동안 중국은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며 다른 신흥국들의 원자재와 중간재를 수입해 이들의 성장을 도왔다. 하지만 최근들어 중국 성장률이 하락하면서 이같은 신흥국들의 경제 역시 큰 타격을 입게 된 것이다.
 
중국의 투자율 하락과 소비중심 성장도 신흥국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OECD 세계투입산출표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고정자산투자가 교역상대국의 부가가치(GDP)를 늘리는 효과는 소비의 평균 2.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중국의 투자율 하락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 중국 의존도가 크거나 원자재를 수출하는 국가들에게 큰 타격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또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산 속도가 둔화되면서 교역을 통한 신흥국 경기를 이끌 힘이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1990년대 이후 중국을 중시으로 세계분업구조가 확대되면서 세계교역이 빠르게 증가했으며, 신흥국들은 중간재를 공급하거나 최종재를 조립해 수출하는 역할을 맡아 성장을 견인해왔다. 하지만 이같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산이 둔화되면서 신흥국이 수출을 통해 성장할 기회가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이외에도 원자재 가격 하락도 신흥국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을 비롯해 금속, 식료품 등 원자재를 공급해 온 남미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2000년대 중반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이하로 급락했으며, 곡물, 금속 등 여타 원자재 가격도 2008년에 비해 30% 가량 하락하면서 원자재 비중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성장률이 큰 폭 하락했다.
 
보고서는 이같은 신흥국들의 부진이 국내 경제에 큰 도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우리 경제의 수출이 신흥국에 집중돼 있는만큼 신흥국의 성장정체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신흥국에 대한 수출은 56% 수준이며, 이는 우리나라 GDP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앞으로 우리 경제가 풀어야할 과제로 두 가지를 꼽았다.
 
우선 우리 경제가 내수성장을 통해 수출주도 성장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 구조는 수출중심국보다 내수중심국의 성장세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우리 경제 역시 지금까지 수십년 간 선전해 온 수출에 주력하면서도 연금 등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규제완화를 통해 잠재수요가 있는 서비스의 공급애로를 제거하는 등 내수성장에 대한 근본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봤다.
 
두번째로 기업들은 신흥국들의 소비시장 규모 확대에 따라 대응방식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살펴본 대로 신흥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점은 명확하지만 이로인한 긍정적 측면이 있으며, 그것이 바로 소비시장 규모의 확대다.
 
보고서는 중국 등 일부 거대국가들의 경우 도시화가 더욱 진전되고 핵심소비인구계층이 커지는데다 내수확대정책으로 소비시장 규모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신흥국별로 정치, 종교, 인구, 자원 등 개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의 재검토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과거 신흥국들은 우호적 외부환경에 힘입어 고성장을 이뤄왔으나 최근 이같은 환경이 반대흐름을 갖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신흥국들은 자국의 실력을 비롯해 인적자본, 제도적 기반 등 스스로 성장 가능성을 높여야하는 상황이며, 우리 기업들 역시 이같은 각국별 성장가능성에 따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주요 신흥국 15개국을 대상으로 ▲인적자본 축적 ▲제도적 우수성 ▲기업활동의 용이성 ▲제조업 비중 등을 기준으로 장기적인 성장가능성을 평가하고 GDP를 시장규모의 지표로 살펴본 결과 말레이시아, 태국, 터키 등 국가가 향후 성장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으로서의 매력도 있다고 봤다.
 
그 뒤를 이어 멕시코, 러시아, 중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남아공, 콜롬비아, 인도, 베트남 등이 중위권 순위를 차지했다. 반면 이란, 베네수엘라, 나이지리아 등 국가는 향후 성장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후베이성 이창시의 시장에서 한 주민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사진/AP뉴시스
 
 
남궁민관 기자 kunggi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남궁민관 기자
남궁민관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