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민성기자] 오는 15일 미국 금리인상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지난 1997년 외환위기 같은 대형 리스크를 한국은 피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미국 금리인상의 파급효과와 대응전략 연구’보고서를 통해 “한국을 비롯한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해 외환대응력과 부도위험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안전국’으로 분석됐다”며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는 ‘위험국’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일각에서 우려하는 '데킬라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는 얘기다. 1994년에 단행된 미국 금리인상은 멕시코 금융위기를 불렀고 이는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을 거쳐 1997년 한국까지 번졌다. 당시 멕시코 전통술 데킬라에 취한 것과 유사해 붙여진 이름이다. 대한상의는 외환건전성이 좋아졌고 국가부도위험도 안정적인 모습이기 때문에 그 당시와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미국 금리인상 리스크 평가.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우리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과 그린스펀 전 연준의장이 권고하는 위기상황 대응력 평가에서 11개국 중 3위 안전국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수 있는 한국내 단기자금(3개월간 수입대금 + 1년미만 단기외채)이 2700억달러 정도로 추정되지만, 이는 외환보유고(3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를 더한 외환대응력(4,0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터키,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은 미국의 고금리를 찾아 떠나는 단기자금을 막을 수 없는 나라로 상의는 분류했다.
데킬라 효과가 한국으로 번지기 어렵다는 것은 국가부도위험으로도 알 수 있다. 보고서는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중 가장 안정적”이라며 “반면, 아르헨티나(사실상 국가부도), 브라질(4.502%), 러시아(2.770%), 남아프리카공화국(2.738%), 터키(2.612%) 등은 가산금리가 높아 부도위험이 높은 나라”로 분류했다. CDS 가산금리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부도가 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파생상품의 가산금리로 금리가 높을수록 부도위험이 높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2013년 미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가능성 발언을 했을때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자금을 빼내 해당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폭락했다”면서도 “당시 한국은 원화가치와 주가가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조성훈 연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은 “미국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겠지만 이는 충분히 예상된 변화”라며 “오히려 금리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한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라고 전망했다.
다만, 데킬라 효과가 미치는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주요 위험국에 대한 수출부진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민성 기자 kms0724@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