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의 재건축 아파트가 부동산 투기를 조장할 정도로 지나치게 높은 분양가가 책정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택지지구 지정이 제한된 상황에서 건설사들이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집중하면서 수주 경쟁이 치열해졌고, 이 과정에 비용이 추가되는 것은 물론 프리미엄 브랜드로 차별화에 나서면서 덩달아 분양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분양가 과열 우려가 있는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를 대상으로 제동을 걸고 있지만, 사그라 들지는 의문이다. 국내 경기가 바닥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유독 부동산만 불타오르고 있다. 특히 강남권 재건축은 광풍의 진원지와 같다.
지난해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청약경쟁률을 살펴보면 신반포자이 37.8대 1(3.3㎡당 분양가 4290만원), 래미안 블레스티지 33.6대 1(3760만원), 래미안 루체하임 44.9대 1(3730만원), 디에이치 아너힐즈 100.6대 1(4137만원), 아크로리버뷰 306.6대 1(4194만원)을 기록했다.
지난 2006년 부동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집값 거품 논란 당시 평균 분양가 3635만원보다 10%가 더 높은 금액이다. 이 같은 재건축 광풍은 인근 지역으로 퍼지고 있다. 준강남으로 불리면서 관심을 끈 과천 주공1단지는 3.3㎡당 3313만원의 일반 분양가를 제시했다.
지난해 5월 분양한 인근 과천주공7-2단지 3.3㎡당 분양가 2700만원과 비교하면 무려 20% 가량 비싼 금액이다. 급기야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분양가를 법적으로 제한하기 어렵자 고분양가 사업장을 대상으로 분양승인권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들 고분양가 재건축 아파트에 대해서 제동을 걸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치솟는 분양가에 공급과잉 악재가 겹치면서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고, 투자자가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강남권 입주 예정물량은 약 1만3000여 가구로 서울 전체의 절반에 해당한다.
또 국토교통부는 전국의 연간 적정주택수요를 27만 가구로 보고 있다. 지난해 27만9228가구, 올해는 37만82가구, 내년 37만1363가구가 예상 입주물량이다. 이 수치대로라면 연간 10만 가구 정도의 아파트가 남아돌 게 되는 셈이다. 강남권 재건축은 물론 인근 지역까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다.
강남권 재건축 과열로 인해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달하는 분양권에 웃돈을 주고, 전매 차익을 노릴 경우 자칫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시세 상승을 부추겨 버블을 심화시킴으로써 실수요자들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강남권 재건축의 고분양가는 분명히 비정상이다. 걷잡을 수 없는 파장을 불러올 게 틀림없다. 정부는 전매 차익을 노린 가수요를 차단하기 위해 보다 강력한 전매제한과 재당첨 제한 등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 그래야 부동산시장의 고분양 거품과 양극화를 막고, 시장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김영택 기자 ykim98@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