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우찬기자] 올 여름 집중호우가 말썽을 부리고 있지만 서울은 큰 탈이 없다. 인근 도시 중 가장 큰 지역인 인천과 매우 비교된다. 거북이처럼 집중호우에 대비해 꾸준한 투자를 해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11년 폭우로 큰 인명피해를 낳은 우면산 산사태가 전환점이 됐다.
지난 16일 충청북도 청주에는 22년 만에 내린 기록적인 폭우로 3명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이튿날인 23일 100mm가 넘는 비로 인천은 주택 등 2345채가 침수되는 피해를 겪었다. 인천은 2010년에도 집중호우로 주택 3479가구, 상가 477개동, 공장 72개동이 침수피해를 당했다. 반면 서울은 수도권 집중호우에도 20여건의 주거지 침수 피해 신고만 있었을 뿐 큰 사고는 없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우면산 산사태는 서울이 수해 대책 시스템을 갖추는 전환점이 됐다”고 말했다. 2011년 7월 강남을 초토화시킨 집중호우는 우면산 산사태로 이어졌고 16명의 사망자와 수십명의 부상자를 낳았다. 2011년 신월 지역 폭우로 6000여세대가 침수 피해를 입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0년 2만3000세대, 2011년 2만세대가 침수 피해를 겪었다.
우면산 산사태 직후 서울시는 10년간 5조를 투입해 수해를 예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침수취약지약 34곳을 발굴했고, 매년 4500억~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하수관거 정비 등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을지로입구역·신촌 현대백화점·미아삼거리 일대 등 15곳이 사업을 마쳤다. 사업 내용은 하수관거 설치·정비, 빗물펌프장 신설·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 등이다. 올해는 6곳 사업이 예정된 가운데 지난달까지 4곳이 사업을 끝냈다. 현재 설치 중인 신월 지역 빗물저류배수시설은 대규모 침수가 우려되면 임시저류조로 사용할 수 있다. 서울은 나머지 13곳 사업을 2019년 우기 전까지 끝낼 계획이다. 이로써 시간당 95mm의 비를 버틸 수 있는 수준을 갖추는 게 목표다.
주택·상가 등 2000채 이상 침수피해를 겪은 인천은 사정이 다르다. 인천시에 따르면 하수관 정비 시설 개·보수 등에 국한하면 매년 시비로 80억~100억원가량이 구·군 등에 지원된다. 시비로 80억~100억원을 시가 구·군에 지원하면 구·군은 구·군비 매칭 또는 국비를 지원받아 사업을 추진하는 식이다. 인천은 지난해 127억원을 지원했고, 올해는 100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하수관거 정비 등을 포함해 인천은 매년 120억~150억원을 수해 예방을 위해 투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재정자립도 등이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인천은 서울에 비해 턱없이 투자가 부족한 것이다.
재정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인천시의 정책부재가 시민들 원성의 대상이 되고 있다. 4600km에 달하는 하수관에 있는 퇴적물 조사는 작년 5월 기준으로 최근 3년 동안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인천시 하수 사용 조례에 따르면 1년에 한 번 하수관거 내 슬러지 등 퇴적물을 조사해야 한다. 시 차원에서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2013년 1월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발생 시 빗물을 하천으로 빠르게 빼내기 위해 지하 깊은 곳에 ‘대심도 터널’을 설치하는 사업에 국비를 지원하기로 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았다. 하지만 인천시는 시 부담 50% 등을 이유로 신청하지 않았다. 당시 서울은 환경부 심사를 거쳐 상습침수지역이던 신월동 일대에 343억원을 지원받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 침수피해가 적은 이유에 대해 “운이 좋았다. 최근 6년간 비가 적게 내렸다. 인천·청주에 내린 폭우로 조직이 긴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수해 예방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 거 같다. 시장께서 약속한 바를 이행하고 있고, 방재만큼은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의 의지가 서울과 인천의 폭우 피해 양상을 다르게 만들었다.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23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천이 물에 잠겨 있다. 사진/뉴시스
이우찬 기자 iamrainshin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