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양진영 기자]의약산업이 선진국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신성장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신약개발과 출시역량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이 나왔다.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16일 발간한 ‘세계 의약품 산업 및 국내산업 경쟁력 현황’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개발과 출시역량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국내기업의 경쟁력이 양호한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 CMO 부문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한 후 축적된 역량을 바이오신약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을 제시했다.
또 외국의 사례를 들어 단기간에 기술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M&A 활용 방안도 추가로 제시했다.
미국·EU·일본 등 선진국 의약품 시장이 약 70%를 차지하는 세계 의약품 시장은 시장확대와 고령화, 의료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2021년 약 1조5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 중심의 고성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블록버스터급 의약품 특허만료로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급성장과 아웃소싱 서비스 시장과 M&A, 전략적 제휴 증가를 예측했다.
현재 우리나라도 최근 바이오시밀러 수출과 선진국 임상시험, 기술수출(Licensing-out)이 급증하고 있으며, 삼성 등 대기업이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진출하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영세업체 위주의 국내 바이오의약품산업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고, R&D 투자규모가 열세해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수은 해외경제연구소가 국내 53개 바이오의약품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7년 이상 장기간이라고 응답한 곳이 55%였다.
기술력 확보방안으로 ‘R&D 투자 확대를 통한 독자적인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6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이번 설문응답기업의 2016년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은 9.4%, R&D 투자액은 평균 89억원에 그쳤다.
이는 글로벌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가 평균(약 18%)과 글로벌 신약개발의 개발비용(평균 1조~2조원)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수은은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선진국 수준의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개발 및 출시역량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미국이나 중국처럼 정부가 R&D 및 투자확대를 위한 지원을 적극 강화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인프라를 조성하고 정책추진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16일 ‘세계 의약품 산업 및 국내산업 경쟁력 현황’보고서를 발간하고 의약품이 신성장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개발과 출시역량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뉴시스
양진영 기자 camp@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