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그동안 소비증가를 이끌던 청·장년층과 중간소득(소득 2∼4분위) 계층의 소비가 위축되면서 전체 소비둔화를 이끌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 2005~2010년 가계 소비지출 증가율은 연평균 4.1%를 기록했지만 최근 5년 동안은 1.3%로 낮아졌다.
29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소비 요인별 분해를 통해 본 최근 소비지출 특징' 보고서에서 최근 가계의 소비지출 증가 폭이 크게 줄어든데는 가계 소득증가 속도 둔화보다는 평균소비성향 하락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평균소비성향은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실제 얼마를 소비하는지 따져보는 지표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층의 경우 과거부터 최근까지 지속해서 소비성향 하락이 소비를 크게 제약하고 있으며 최근 5년 사이 청장년층과 중년층 가구도 소비성향 하락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최근 5년(2011~2016년) 동안 30대 이하 청장년층 가계의 소비지출액은 0.9% 증가해 과거 5년(2005~2010년)간 4.6%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폭이 축소됐다. 고령화로 인한 노후부담이 점차 전 연령대로 확산하는 가운데 청장년층과 중년층의 주거비 부담과 가계부채 누증의 효과가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소득층(2~4분위) 가계 소비지출액도 과거 5년 4.3% 늘어난데 비해 최근 5년에는 1.1% 증가에 그쳤다. 이에 저소득층 소득여건 개선뿐만 아니라 낮아지고 있는 중간소득 계층의 소득을 높여 이들의 소비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가계 주거비 부담 확대, 고령화 심화, 가계부채 누증 등이 전반적으로 평균소비성향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며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성향 하락으로 인한 소비지출 감소 효과가 매우 컸다"고 분석했다.
이어 "교육비 및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좋은 일자리 늘리기를 통해 핵심 소비 계층인 중산층 70%를 재건해 소비 여력을 확대해야 한다"며 "민간 부문에서 좋은 일자리가 더욱 많이 창출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신규 일자리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료/현대경제원구원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