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교육따라 '건강불평등' 심각…저학력층, 흡연·음주 등 습관화

입력 : 2018-03-25 오후 12:00:00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소득과 교육 수준에 따라 건강생활의 불평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선택으로 보이는 건강 생활습관에 개인을 넘어서는 원인, 즉 사회적 원인이 관여되고 있었다. 즉, 사회적 여건의 격차가 생활습관의 격차로 이어졌고, 결국에는 건강불평등을 유발했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득·교육 수준에 따른 나쁜 생활습관의 격차와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별로 나쁜 생활습관을 가진 사람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소득 수준, 교육수준에 따라 불평등이 나타났다. 나쁜 생활습관 지표는 현재 흡연, 고위험 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식품 미보장 등 4가지로 정의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수준별 나쁜 생활습관 격차에서는 나쁜 생활습관이 하나도 없는 사람의 소득 수준 간 격차(소득 수준 상-소득 수준 하)는 지난 2010~2012년 6.5%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 수치는 2013~2015년에 4.2%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교육 수준별 나쁜 생활습관 격차는 더 두드러졌다. 30~64세 집단에서 나쁜 생활습관을 3개 이상 가진 사람의 비율은 교육 수준별로 격차가 뚜렷했는데, 교육 수준이 '상'인 집단과 '하'인 집단 간 격차는 2010~2012년 25.1%포인트, 2013~2015년 13.3%포인트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집단에서는 나쁜 생활습관이 전혀 없는 사람의 교육 수준간 격차가 2010~2012년 13.3%포인트였으나, 2013~2015년에는 18.3%포인트로 격차가 더 커졌다.
 
김동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생활습관의 불평등은 소득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가장 낮은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소득 수준에 따른 계층별 경사면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꼬집었다. 즉 사회적 여건의 격차가 생활습관의 격차로 이어지고 결국에는 건강불평등을 유발한다는 구조다.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더 좋은 생활습관을 갖도록 건강증진서비스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현재 시·군·구별로 실시되고 있는 통합건강증진사업은 보편적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사업의 강도를 '필요'에 비례하도록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초등학생들이 건강생활실천 습관화를 위해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한국건강관리협회 울산지부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박진아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