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한영 기자]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18일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신뢰를 확고히 뒷받침 하면서도 이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작전적 제한사항을 어떻게 보완할지와 대비태세를 강구해야 한다”며 “두 가지 관점에서 육군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날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군 국방위원회의 육군본부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최근 남북 화해무드 속에도 상호주의에 입각한 감축·북한 도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자유한국당 이주영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김 총장은 남북 군사당국 간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 체결로 내달 1일부터 군사분계선(MDL)에서 5km 내에서 포병사격훈련·연대급 이상 야외기동훈련이 중지되는데 대해 “사격장같은 경우 육군이 갖고 있는 40개 중 해당되는 것이 3개 소”라며 “일부 부대 사격진지나 표적지, 부대 훈련내용을 조정하는 식으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연대급 이상 야외기동훈련은 육군 과학화전투훈련장(KCTC)를 이용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남북 군사합의서와 별개로 변화된 작전개념에 맞춰 GP(감시초소) 시범철수 문제 등을 바라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MDL이 그어지고 비무장지대(DMZ)가 설정된 기본 뜻은 ‘주요 화기가 도달할 수 있는 유효사거리 밖으로 버퍼존을 만들어 운영한다’는 취지였다”며 “주요 화기 유효사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운영에 있어서도 개선여지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남북한이 1km 내로 근접하는 사례가 발생했다”며 “이런 식의 군사대치는 우리 장병이 24시간 적이 겨누는 주요 화기의 표적지가 되는 것으로 변질된 것”이라는 말로 개선을 촉구했다. ‘주요 기관총 화기의 유효사거리 밖으로 GP를 철수하는 것은 합리적·발전적인 순리’라는 지적에 김 총장은 “그런 측면도 있다”고 답했다.
한편 육군은 이날 국감 업무보고에서 오는 2030년까지 전통적 도보 보병부대를 기동화부대로 재편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육군은 “보병부대 전투원과 장비를 기동화, 네트워크화, 지능화하는 '백두산 호랑이 체계'를 2030년까지 모든 부대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사단 중심 전투체계를 여단 중심으로 개편해 부대 운용의 효율성을 기하겠다는 점도 발표했다.
18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육군본부 국정감사에서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의원들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한영 기자 visionchy@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