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문식 기자] 경기도 내 대기환경 관리를 위해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도내 미세먼지 현황을 비롯, 대기환경 관리를 위해 신기술을 활용하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4차 산업혁명과 경기도 미세먼지 관리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도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모두 연평균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했다. 특히 도내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2008년부터 꾸준히 개선 추세에 있다가 2013년 이후 최근 몇 년간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 관계자는 “도에서 ‘2차 경기도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특별대책 시행계획’과 함께 ‘2차 경기도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고, 2022년까지 총 1조767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인구와 교통량이 밀집된 도심 내에 다수의 생활 오염원이 함께 분포하고 있어 측정망 관측자료보다 미세먼지 오염도가 훨씬 높은 고농도 구역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국가 대기질 정보와 국민 체감도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고 있어 더욱 촘촘한 미세먼지 측정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일부 대형 사업장 및 발전소 등 원격으로 실시간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지점이 아닌 ‘미부착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중소규모 사업장은 조사체계의 부재 및 행정력 부족으로 인해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연은 도내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방안으로 △인구밀집·고농도 지역에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공기질 측정 시스템 도입 △중소규모 사업장이 밀집된 지역의 배출시설에 감지센서 설치 △어린이집·산후조리원 등 미세먼지 민감계층 이용시설에 실시간 실내공기질 측정 시스템 도입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경기도 대기환경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소개했다.
환경정의 회원들이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4일 ‘탈석탄화력발전’·‘탈경유차’ 정책 필요함을 알리는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문식 기자 journalmal@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