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연 2%를 밑돌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국경제의 가장 큰 교역국인 중국 또한 내년 성장률이 6%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이면서 내년 성장경로도 험로가 예상된다.
27일 한국은행과 해외
IB등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중국
GDP 성장률은
6.0%로 전분기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 이는 분기별
GDP 성장률 통계가 발표된
1992년 이후
27년만에 최저치다
. 미
·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로 수출뿐만 아니라 내수 부진까지 동반된 여파다
. 수출은
7월중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8~9월중
2개월 연속 감소했으며 무역분쟁 발발 이후 대미 수출비중이 낮은 기업들도 투자지출이 상당폭 축소됐다
.
내년 전망은 더 어둡다. 주요 기관들은 내년 중국경제 성장률이 5% 후반으로 6%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달 OECD는 중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5.7%로 전망했으며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각각 5.9%와 5.8%로 내다봤다.
주요IB들은 중국 정부가 급격한 성장률 하락을 막기 위한 정책대응을 지속하되 성장의 내실화에 초점을 둔 구조조정을 동시에 추진할 것으로 보고있다. 지준율 및 대출우대금리 인하, 특수목적 지방정부채 조기 확대발행, 소비진작 정책 시행 등 경기부양책을 지속하는 등 경기대응정책을 꾀하는 식이다.
지난 3분기 중국 GDP 성장률은 6.0%로 전분기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항구의 모습. 사진/뉴시스
하지만 수출이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투자 등 내수도 추가로 둔화되면서 신용리스크, 홍콩사태 등 여타 불안요인이 가세해 성장 동력을 크게 악화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봤다. 실제 향후 미중분쟁이 부분 타결되더라도 중국 부동산시장이 위축될 경우 정책효과가 크게 제한되면서 내년 성장률 6% 달성에 실패하고, 금융불안도 심화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는 1%대 성장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는 한국경제에도 큰 리스크로 지목된다. 내년 중국 경제가 올해보다 둔화되는 점이 기저효과를 바라보는 국내 수출 증가율의 증가폭을 제한할 수 있어서다. 실제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 악화로 수출은 작년 12월부터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과거에는 국내 경제성장률이 1%대로 급락했던 경우 그 이후 수출 경기 회복의 도움으로 국내 경제성장률은 급락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했다"며 "하지만 내년이후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이 5%대 성장 시대로 진입하게 돼 과거와 같이 급락 이전의 회복 경로로 회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내다봤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