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한계기업 증가…"코로나 이후 기업 부실화 방지책 절실"

한계기업 2011년 5.0%서 2019년 11.9% 증가
9년 장기한계기업, 산업별 격차…의료용 물질·의약품↑
"차별화 금융지원·기업 단위 구조조정 등 필요"

입력 : 2021-06-06 오전 11:00:00
[뉴스토마토 정서윤 기자] 국국내 제조업 중 이른바 ‘한계기업’이 급증하면서 장기적인 기업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정상기업의 부실화 방지와 기업 선별 지원정책, 기업 단위 구조조정 등이 절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제조업의 한계기업은 지난 2011년 약 5.0%에서 2019년 11.9% 수준까지 급증했다.
 
한계기업이란 재무구조가 부실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의미한다. 3년 이상 이자보상배율(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 1 미만, 업력 5년 이상의 기업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장기적인 한계기업의 비중도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이다. 장기 한계기업은 정상화되거나 사업 전환 또는 시장 퇴출로 이어지지 않아 장기간 한계기업 상태를 지속하는 것을 말한다.
 
한계기업 중 9년 이상 장기한계기업은 2009년 34개(6.5%)였으나 2019년 164개(11.2%)로 급증한 상황이다.
 
세부적으로는 산업별 한계기업 비중과 장기화 여부 간 격차를 보이고 있다.
 
2019년 기준 산업 내 한계기업 비중은 조선, 철도, 항공 등 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이 25.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이 21.1%, 섬유가 18.1% 순이었다.
 
반면, 9년 이상의 장기한계기업 비중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이 6.2%로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는 기타제품 3.3%, 섬유 2.9%, 기타운송장비 2.7% 순이다.
 
6일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제조업의 한계기업은 지난 2011년 약 5.0%에서 2019년 11.9% 수준까지 급증했다. 사진은 연도별과 지속기간별 한계기업 추이. 사진/산업연구원
 
3년 기준 한계기업 비중 변화는 의료용 물질·의약품 제조업과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해 9년 기준 장기한계기업 비중은 2017년을 기점으로 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이 완화된 반면 의료용 물질·의약품 급증 등 산업에 따른 이질성이 극명했다. 
 
한계기업과 정상기업이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는 기업 규모, 업력, 영업활동의 수익성, 자금조달 안정성 등에서 뚜렷했다.
 
정상기업의 부실화 방지와 한계기업의 정상화 목적에 부합하는 세밀하고 복합적인 산업·기업 정책이 필요한 이유다. 한계기업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비용구조 개선을 위한 노동비용 비중 감소, 비핵심자산 매각, 영업 관련 자산 증대 등 기업의 자구 노력이 필수라는 것이다.
 
산업연이 분석한 한계기업 특성을 보면, 규모가 작고 오래된 기업의 경우 한계기업 가능성이 높았다. 한계기업 탈출도 작은 규모와 장기 업력을 가진 기업에서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송단비 산업연 부연구위원은 "한계기업이 특정 산업에서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해당 산업을 선별해 기업 구조조정 정책을 보다 강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산업 특성에 따른 차별화 금융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도 꼽았다. 한계기업이 외부자금조달을 통해 장기간 존속하게 될 경우 기업 지원 정책이 한계기업의 연명과 시장 비효율을 야기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 만큼 기업 선별이 중요하다는 게 송단비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또 실제 정상기업이나 산업 특성에 의한 재무적 평과 결과, 한계기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어 산업의 사업적 특성을 고려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송 부연구위원은 "이자보상배율 등 단편적인 지표로 기업 부실 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산업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분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정서윤 기자 tyvodlov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서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