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성장역량 지역 간 양극화↑…"비수도권 정책 대응 강화 절실"

혁신성장역량 대전 1위…서울 2위·경기 3위·인천 4위
경북·강원·전남·제주 최하위 수준
양극화가 경제 격차로 이어질 수 있어
산업연 "산업구조 고도화 통해 국가균형발전 도모해야"

입력 : 2021-08-08 오전 11:00:00
[뉴스토마토 정서윤 기자] 전국 17개 시·도 중 혁신성장역량이 가장 높은 곳은 대전시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은 최상위, 비수도권 도 단위 지역은 하위권을 보이며 지역 간 양극화 현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양극화가 경제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두고 산업구조 고도화와 일자리 창출을 기반으로 지역경제 선순환구조에 주력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8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대응 기본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중 대전이 혁신성장역량 지수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서울, 경기, 인천은 각각 2위, 3위, 4위로 뒤를 이으며 최상위권으로 분류됐다. 대전의 종합 지수는 2.5531, 서울 종합 지수는 2.2690을 보였다.
 
특히 대전과 서울은 종합 순위와 마찬가지로 혁신성장역량을 구성하는 혁신기반역량 및 미래산업기반역량의 2대 요인 모두에서 최고 수준인 1~2위를 유지했다. 이는 17개 시·도 중 가장 이상적인 발전 패턴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최하위권인 14~17위에는 경북, 강원, 전남, 제주 등이 꼽혔다. 경북, 강원, 전남의 경우 고령화 심화와 경제 취약지역으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기반이 미약하다는 특성이 반영됐다.
 
제주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광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지역이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R&D)과 제조업 신산업의 기반이 아직 구축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혁신성장역량은 혁신기반역량과 미래산업기반역량의 전국 평균을 기준으로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혁신성장 선도형'은 대전, 서울, 경기, 인천, 광주 등 혁신기반역량과 미래산업기반역량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도는 유형이다. 이 지역들은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R&D 역량(대전), 지식서비스(서울), 지식제조업(경기), 청년인구 집적지(광주) 등의 특성을 보인다.
 
혁신기반역량은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으나, 미래산업기반역량은 상회하는 '미래산업기반 의존형'에는 대구와 충남이 포함됐다. 대구는 창업 부문에서 전국 4위, 충남은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신산업기반 부문에서 전국 4위를 차지한 결과다.
 
혁신기반역량과 미래산업기반역량 모두 전국 평균을 하회하는 충북, 전북, 부산, 경남, 경북, 강원, 전남, 제주 등 8곳은 '혁신성장 취약형'으로 꼽힌다. 광역시 중에는 부산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특히 대다수 지역은 비수도권 도 지역들로 형성돼 있어 향후 상위권 지역과의 혁신성장 격차 확대가 경제적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유형의 지역들은 역내 생산성 증대를 통한 지역성장 구현이라는 혁신성장의 목적을 실현하기 어려운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미래산업기반역량은 전국 평균보다 낮으나, 혁신기반역량은 높은 '혁신기반 의존형'이 있다. 울산과 세종이 이 유형에 포함된다.
 
울산은 대기업 입지로 인해 혁신기반역량을 구성하는 R&D 부문에서 3위를 기록했지만, 신산업 부문은 15위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세종은 사람·교육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제조업이 미약한 산업구조로 신산업 부문은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혁신성장 선도형'에 5곳, '혁신성장 취약형'에 8곳 등 13개 지역이 혁신성장역량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극단적인 유형에 속해 양극화가 심화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향후 대전·수도권과 비수도권 도 지역 간 경제 격차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03년 이후 지역 간 경제력 격차 해소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해 왔다. 하지만 산업연은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혁신성장역량이 낮은 지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향후 국가균형발전의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혁신성장 취약형'과 '혁신기반 의존형'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역량의 지역 간 양극화를 완화하는 것이 향후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핵심 이슈"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구조 고도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반의 혁신 성장을 통한 지역경제 선순환구조 정착, 연구개발과 창업활동·신산업 부문 간 단절 현상을 극복하는 기술사업화 촉진에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8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중 대전이 혁신성장역량 지수에서 1위를 보였다. 사진은 혁신성장역량 지역 유형화. 자료/산업연구원
 
세종=정서윤 기자 tyvodlov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서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