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했다. 최근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데다 우크라이나 사태, 코로나19 확진자 폭증, 대통령 선거 등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 시계가 빨라지고 있어 대선 이후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한은 금통위는 24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현재 연 1.25%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앞서 금통위는 작년 8월 기준금리를 33개월 만에 0.25%포인트 올리는 등 0.75%로 확정 후 10월 한 차례 '숨 고르기'한 바 있다. 이어 금통위는 11월과 올해 1월 연속으로 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상향했다.
이 같은 동결은 이미 예견됐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국내 소비자물가가 작년 10월 이후 4개월 연속 3%대를 지속하는 등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고 있지만 두 차례 연속 인상한 만큼, 추가 인상은 부담이 따를 수 밖에 없다는 관측에서다.
역대 금통위의 행보를 보면, 실제 기준금리를 세 차례 연속 인상한 사례는 한 번도 없다.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지는 대선 직전 시기라는 점도 동결 결정에 무게가 실린다. 무엇보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는 시점에서 자칫 금리 인상이 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한몫 한 분위기다. 금리 인상의 주 목적 중 하나인 주택 시장이 예상보다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금리 동결 요인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은 금통위 측도 기준 금리를 세 달 연속 인상하기보다 금융시장 안정에 중점을 두고 숨 고르기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대선 이후 열리는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 인상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재정 당국이 금융불균형 사태에 대해 심상치 않게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소비자물가가 작년 10월 이후 4개월 연속 3%대를 지속하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은 더욱 거세지는 추세다.
게다가 미국 등 주요국의 긴축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점도 기준금리 인상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 원화와 달러의 간극이 좁아질수록 국내 자금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는 만큼, 한은으로써는 금리 인상을 서두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특히 대다수 금통위원들이 최근까지 통화정책 기조의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힌 점을 감안하면 조만간 기준금리 인상은 피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한편 이날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0.00∼0.25%)와의 격차는 1∼1.25%포인트가 유지됐다. 다음 한은 금통위 회의는 4월 14일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연 1.25%의 기준금리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날 금통위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는 모습. 사진/한국은행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