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가적 정책 추진 절차가 법으로 시행되면서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저탄소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탄소중립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서는 투자비 등 기업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일 재계와 법조계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탄소중립기본법 시행으로 현재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업체들의 경영 활동에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탄소중립기본법 7조 1항, 8조 1항과 2항을 보면 정부는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해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하고, 특히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만큼 감축하는 중장기 목표에 따라 산업, 건물, 수송, 발전, 폐기물 등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같은 법 27조 1항은 정부가 최근 3년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 총량이 5만tCO2eq(이산화탄소상당량톤) 이상인 업체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만5000tCO2eq 이상인 사업장을 1곳 이상 보유하고 있는 업체를 지정하고, 1년 이내에 달성해야 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해당 업체와 협의해 설정·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 ESG 기구 통해 목표 수립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 비전'을 법제화한 14번째 국가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의 이행이 강조되면서 국내 산업계에서도 중장기 목표를 세워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현대차(005380)는 지난달 초 전 세계에서 판매하는 완성차 중 전동화 모델 비중을 2030년까지 30%, 2040년까지 80%로 끌어올리는 등 제품과 사업 전반에서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는 최근 글로벌 에너지기업 쉘과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대차와 쉘은 글로벌 전기차 보급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협업을 시작으로 각사 사업장에서 재생 에너지의 사용과 탄소배출 감축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30일 종합 에너지·화학기업 아람코,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라 과학기술 대학(KAUST)과 함께 초희박 연소 엔진(Ultra Lean Burn Engine), 친환경 합성연료(e-Fuel) 공동연구 협약식을 진행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오른쪽)과 하이버트 비제베노 쉘 다운스트림 사업총괄대표가 넥쏘 수소전기차 앞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포스코그룹은 지난달 30일 열린 '그룹ESG협의회' 첫 회의에서 2050년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공유했다. 포스코는 2030년까지 사업장 직접 감축 10%, 사회적 감축 10%를 달성한 후 2040년까지 50% 감축,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서
포스코(005490)는 탄소중립 달성에 관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탄소중립 로드맵 이행에 따른 주요 이슈 점검을 위해 지난달 16일 '탄소중립위원회'를 출범했다. 포스코는 올해 1월 외부 전문가 8명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Green 철강기술 자문단'도 발족했다.
LG이노텍(011070)은 최근 ESG위원회를 열어 '2040 탄소중립 추진 계획'을 결의했다. 이에 따라 LG이노텍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 에너지에서 얻고, 2040년에는 탄소 배출을 제로화할 예정이다.
또 LG이노텍은 매립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해 '폐기물 매립 제로(Zero Waste to Landfill)' 인증을 국내외 사업장으로 늘린다. 이와 함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을 100% 무공해 차량으로 전면 교체할 계획이다.
기업 34% "투자 비용 부족"…애로사항 호소
이처럼 탄소중립과 연관된 국내 대부분 기업이 관련 목표를 수립해 실행하고 있지만, 10곳 중 3곳은 투자 비용이 부족한 애로사항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중인 346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실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의 91.6%가 탄소 중립 목표를 수립했다고 답변했다. 목표를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8.4%에 그쳤다.
탄소중립 달성 시기는 '2050년'이 76.3%로 가장 많았고, '2030년'이 9.5%, '2040년' 8.2%로 뒤를 이었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중인 기업들이 정부에 바라는 최우선 정책 과제.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이들 기업은 탄소중립 이행의 애로사항으로 '투자 비용 부족'(34.1%)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다음으로 '탈탄소기술 등 감축 수단 부족'(26.9%), '재생 에너지 인프라 부족'(15.3%), '정책 불확실성과 불합리한 규제'(14.2%), '관련 정보 부족'(9.5%) 순으로 응답했다.
아울러 정부에 바라는 최우선 정책 과제로 '탄소 감축 투자 지원'(40.8%), '탄소 감축 기술 연구개발 지원'(20.2%), '재생 에너지 기반 구축'(14.7%), '법·제도 합리화'(13.9%), '저탄소 제품 수요 창출'(9.0%)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외국의 제조기업들은 저탄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대규모 R&D와 설비 투자를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최근 우리 기업들도 탄소중립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고자 노력하고 있는 만큼 기업이 주도적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정해훈 기자 ewigj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