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에너지대전환포럼)강성진 현대건설 팀장 "원전 딜레마, SMR에 답 있다"

강성진 팀장 '차세대 원전에서 딜레마 극복의 열쇠를 찾다' 강연
SMR은 전기출력 300MW 이하 소형모듈화원전
안전성 높고 대형 원전보다 초기 투자 비용 낮아

입력 : 2022-10-20 오후 4:25:10
[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탄소중립 시대에 발맞춰 무탄소 요건에 부합하고 혁신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에 주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강성진 현대건설 원자력SMR사업팀 팀장은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2 에너지대전환포럼'에서 3세션의 세 번째 강연인 <차세대 원전에서 딜레마 극복의 열쇠를 찾다>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강성진 팀장은 현재 세계가 원자력의 활용도와 필요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7월 유럽연합(EU)의 택소노미(Taxonomy) 원자력 포함 의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말미암은 국제유가 상승, 천연가스 수요 불균형 등으로 인해 세계 각국은 에너지 안보 위기 대응 차원에서 원자력에 다시금 주목하고 있다.
 
이에 SMR의 중요성은 나날이 부각될 전망이다. SMR은 전기출력 300메가와트(MW) 이하 소형모듈화 원전을 통칭한다.
 
SMR은 주요 기기의 일체화와 안전성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주요 구조물·계통·기기를 모듈 단위로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이 가능하다. 또 대형 원전과 비교해 초기 투자 비용 규모가 낮고, 작은 부지 면적이 소요되는 것도 장점이다.
 
SMR은 화력발전소를 대체하는 것은 물론 원격지 분산 전원, 난방열 공급, 해수 담수화, 수소 생산, 부유식 해상 원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를 토대로 원자력 시장은 SMR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강 팀장은 내다봤다. 그는 "SMR은 무탄소 발전원 수요에 부합하고 혁신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아울러 분산 전원, 수소 생산 등 다양한 니즈에 부합한다. 낮은 투자 비용으로 사업 리스크가 축소되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SMR 시장 전망도 밝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SMR 시장이 오는 2050년 400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에 미국, 캐나다, 러시아, 중국, 일본 등 기존 대형 원전 강국을 중심으로 한 20여개국은 70여개 노형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30년 이후로는 본격적인 SMR의 상용화도 예상된다.
 
냉각재에 따른 주요 SMR 노형을 살펴보면 물을 활용하는 경수로(LWR)를 비롯해 액체금속고속로(LMFR), 고온가스냉각로(HTGR), 용융염냉각로(MSR) 등이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 반세기 동안 진행해온 원자력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압경수로형 소형모듈원전인 'SMR-160'을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과 공동 개발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SMR-160 프로젝트는 미국 뉴저지주 레이시 타운십 소재 '오이스터 크릭(Oyster Creek)' 원전 해체 현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160MWe의 전기 출력을 내는 SMR-160은 향상된 안정성, 검증된 LWR 원자로 기술을 사용한다. 아울러 다목적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고 연료 사이클을 고려해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강성진 현대건설 원자력SMR사업팀 팀장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뛰어난 원자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국가"라며 "우리는 차세대 원전 사업 분야에서도 강점 역량을 기반으로 탄소중립 실현과 원자력 생태계 발전을 선도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성진 현대건설 원자력SMR사업팀장이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기후위기와 자원전쟁 시대, 대체에너지 현황과 미래’ 포럼에서 ‘차세대 원전에서 딜레마 극복의 열쇠를 찾다’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충범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