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정부가 침체된 국내 건설 시장에 대한 돌파구로 우리 기업들의 해외투자개발사업 지원에 나섭니다. 오는 2030년까지 해외투자개발사업 수주액 100억달러(약 13조9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는데요. 기존 도급사업에서 나아가 민관이 합동 개발하는 첫 'K-신도시'는 베트남 하노이에 조성될 전망입니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해외투자개발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중동을 비롯한 개발도상국의 민관합작투자사업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860억달러(119조240억원)까지 성장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457억달러까지 줄었던 시장이 회복한 것인데요.
전 세계적 수요 회복에 대응해 국토부는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투자개발사업'을 활성화하겠다는 전략입니다. 투자개발사업은 사업 시행자가 기획과 개발, 금융조달 등 사업 전반을 맡고 시공과 운영·관리까지 함께해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합니다. 그동안 우리 건설업계는 발주사가 원하는대로 단순히 건물, 교량, 터널 등을 짓는 도급사업 비중이 절대 다수였습니다.
우선 국토부는 상대국 정부와 협상력을 가진 공공기관을 앞세워 투자개발사업 수주 기회를 확보할 방침입니다. 철도(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공사), 도로(한국도로공사), 공항(한국공항공사·인천국제공항공사), 주택(한국토지주택공사) 등 분야별 공공기관이 유망국별로 민관 합동 진출 전략을 수립합니다.
(표=국토부)
이를 위해 투자개발 전문 기관인 해외인프라도시개발공사(KIND)의 기업 지원 기능도 더욱 강화합니다. 우리 기업의 사업주도권 확보를 위해 KIND의 지분투자 비중을 현행 30%에서 50%까지 확대하고, 그동안 불가능했던 대주주로서 참여를 허용합니다.
대규모 금융이 필요한 투자개발사업의 특성을 고려해 공적개발원조(ODA)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적극 활용합니다. 도로와 상하수도, 전력망 등 상업성이 없는 공공인프라 사업은 수원국 정부가 EDCF를 활용해 발주하고, 주택과 산업단지 등 상업성이 있는 사업은 우리 기업이 투자개발사업 형태로 진행합니다. 국토부는 우리 기업에 건설보조금 및 고정대금, 기자재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기업의 투자개발사업 진출을 지원하는 1조1000억원 규모의 PIS(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 2단계 펀드도 신규 조성합니다. 대출과 보증 등 수출입은행의 수출금융 정책금융도 함께 강화합니다. 사업 초기부터 우리 기업을 위한 타당성 조사도 지원됩니다.
장기간 대규모로 이뤄지는 '도시개발' 분야에선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UGPP)을 가동합니다. 1호 프로젝트는 베트남 박닌성 일대에 판교 규모 신도시를 만드는 '박닌성 동남신도시' 사업인데요. 베트남 하노이 외곽 31㎞ 거리에 조성되는 신도시는 850만㎡ 부지에 아파트와 상업·업무시설, 산업단지가 조성됩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우리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걸맞게 고부가가치 상위시장인 투자개발사업 분야의 진출을 확대할 시점"이라며 "공공이 민간과 함께 참여하는 선단형 수주를 통해 K-신도시 수출을 활성화하고 2027년 해외건설수주 500억달러 달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우건설이 하노이에 짓고 있는 스타레이크 신도시의 빌라와 부지, 사무용 건물 등의 전경.(사진=연합뉴스)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