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방사선 전문의 대상으로 진행된 블라인드 보고서 평가 결과, 전문의 72%가 ‘메드-제미나이’가 작성한 보고서가 실제 의사가 쓴 것과 비교해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로리 필그림 구글 리서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27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리서치앳 코리아’ 기자간담회에서 의료 업무에 적용 가능한 구글의 AI ‘메드 제미나이(Med-Gemini)’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메드-제미나이는 텍스트, 이미지, 유전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의료 데이터를 학습해 방사선학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 의료용 대규모 언어 모델(LLM)입니다.
필그림 엔지니어는 “메드-제미나이는 제미나이 1.5 모달로 의료데이터를 잘 이해한다”며 “예를 들어 여러 흉부 엑스레이, 초음파 이미지를 텍스트와 함께 해석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다”고 설명했습니다. CT, 엑스레이 사진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는 의사 10명 중 5명이 메드-제미나이가 유용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메드-제미나이 학습 데이터에는 심전도, 수술 이미지, 게놈(유전체)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활용됐습니다.
27일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구글 리서치앳 미디어세션에서 로리 필그림 구글 리서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메드-제미나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구글)
필그림 엔지니어는 “메드-제미나이와 관련해 여러 기관과 협업하고 있는데 기관들은 자체 데이터를 이용해 메드-제미나이를 평가하고 싶어 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이날 기침으로 진단을 내리는 도구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필그램 엔지니어는 “기침과 같은 생체 음향 신호를 통해 질병이 어떻게 옮겨가는지 추적할 수 있는 도구를 현재 연구를 통해 평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밖에 AI를 활용한 인간의 뇌 구조와 기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진행 중인 ‘커넥토믹스(Connectomics)’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습니다.
리지 도프만 구글 리서치 그룹프로덕트 매니저는 “인간의 뇌는 지구상 모든 생물체와 차별화하는 요소”라며 “CT, MRI와 같은 뇌 구조를 정밀 분석하는 기능은 밝혀냈지만, 뇌 작동 수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커넥토믹스는 뇌 작동 방법을 알기 위해 신경망 구조를 맵핑하는 구글의 뇌 관련 프로젝트입니다. 구글은 커넥토믹스를 통해 뇌에 세포가 몇 개고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도프만 매니저는 “인간의 뇌는 약 860억개의 뉴런이 있지만 약 20와트만 전력을 소모해 매우 효율적인 기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간의 뇌는 수억개 뉴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모하는 에너지가 20와트에 불과한 것과 관련 연구를 발전시킬 경우, 생성형 AI 고도화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구글은 제미나이 1.5프로 기반으로 만든 글쓰기 도우미 ‘노트북LM(Notebook LM)’도 소개했습니다. 글쓰기 도구 노트북LM은 PDF 등 개인 문서를 구글 슬라이드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요약본을 생성해주고 해당 문서 관련 질문과 답변을 하도록 설계된 개인화된 AI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라이자 마틴 구글 리서치 프로덕트 매니저는 “노트북LM은 200여 개국에 출시돼 있고, 25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한다”며 “문서뿐만 아니라 여러 언어로 향상된 분석 기능이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리서치앳(Resarch@)은 구글이 지난해 9월부터 세계 주요 도시에서 AI 최신 연구 사례를 공유하는 행사로, 올해는 코리아스타트업포럼과 함께 서울에서 ‘리서치앳 코리아’를 두 번째로 개최했습니다.
에서 열린 구글 리서치앳 미디어세션에서 밝힌 ‘메드-제미나이’ 방사선 보고서 평가 결과. (사진=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