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경호처 내부 제보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12·3 비상계엄' 이후 처음으로 단행한 경찰 고위직 인사와 관련해 노골적인 '윤석열 코드인사'이자 '보은 인사'라는 비판이 쏟아집니다. 특히 윤석열씨의 '옥중 인사'가 반영된 것이라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 야당 간사인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친위 쿠데타 세력에 대한 단되가 아직 현재 진행형인 가운데 경찰 고위직 인사가 있었다"며 "지금이 이런 인사를 할 때입니까"라고 지적했습니다.
정부는 이날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을 치안감에서 치안정감으로 승진시키는 인사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치안정감은 경찰 총수인 경찰청장(치안총감) 바로 아래 계급인데요. 조지호 경찰청장이 구속 기소된 만큼 사실상 경찰의 수장을 임명한 셈입니다.
이에 윤 의원은 "경찰은 계엄군의 국회 침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조직"이라며 "국회 봉쇄의 선두에 섰던 경찰이 어디까지 불법 내란에 연루되어 있는지는 아직 진상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는 박 국장과 관련해서도 "그는 윤석열 취임 직후 대통령실에서 근무했고, 현 정부 들어 두 계급이나 초고속 승진을 한 경찰 내의 대표적인 친윤(친윤석열) 인사"라며 "특히 비상계엄 당시, 이상민 장관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행안부 경찰국장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박 국장도 사실상 수사 대상이라는 겁니다.
실제로 박 국장은 비상계엄 직후 조 청장에게 두 차례 전화를 받았으며, 국회 비상계엄해제결의안 의결 직후 조 청장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때문에 내란 국조특위(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는 박 국장도 수사 대상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윤 의원은 치안감 승진 인사와 관련해서도 "승진 발표된 치안감 3명 중 2명이 용산 대통령실 출신"이라며 "너무나 노골적인 윤석열의 코드 인사, 보은 인사"라고 했습니다.
이어 "피의자 윤석열의 뜻이라고 밖에는 볼 수 없다"며 "감옥 안에서조차 반성이라고는 눈꼽만큼도 없이, 여전히 자기 사람 심기에만 눈이 시뻘겋게 몰두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관련해 국회 행안위 소속 민주당·조국혁신당·기본소득당 의원들은 입장문을 내고 "노골적인 코드·보은 인사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겨냥해서는 "헌법재판관은 임명하지 않고 경찰 최고위급 인사는 강행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무너진 헌정질서는 보이지 않나"라고 비판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