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김유정·이선재 인턴기자] 지난해 12·3 내란 사태의 핵심 증인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씨로부터 비상입법기구 쪽지와 관련해 "참고자료(쪽지)를 직접 준 사람은 실무자였고, 대통령이 저에게 참고하라고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쪽지'를 언론 기사를 통해 봤다는 윤씨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한 진실공방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최 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으로부터 쪽지를 받았느냐'는 의원 질의에 "(대통령이) 기재부 장관이라고 부르셨고, (직후) 그 자리에서 옆에 누군가가 참고자료라고 전달해줬다"고 밝혔습니다. 또 쪽지를 봤는지 묻는 질문에 "저는 내용을 보지 못했고, 쪽지 형태로 받았기 때문에 저희 간부한테 가지고 있으라고 줬다"고 답했습니다.
최 대행은 앞서 국회 본회의와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등에서 같은 취지로 증언한 바 있습니다. 최 대행에게 건넨 쪽지에는 계엄을 위한 예비비 확보 등의 지시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함께 최 대행은 12·3 불법계엄과 관련해 '위법이라는 데 동의하느냐'는 질의에 "잘못된 결정이라고 생각했고, (계엄 선포 전) 그 자리에서도 반대를 강하게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서부지법 난동 사태와 관련해선 "상상할 수 없는 불법 폭력 사태라고 생각하고, 강한 유감을 표시하고 있다"며 "그런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정부로서 여러 가지 조치를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논란도 제기됐습니다. 최 대행은 마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이지만 아직 그 부분(결정)이 없기 때문에 제가 예단해서 말씀드릴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 후보자 임명을 보류한 이유에 대해선 "여야의 합의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지금이라도 (여야가) 합의해 주면 임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여야가 합의할 경우 임명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겁니다.
박주용 기자, 김유정·이선재 인턴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