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정부와 관계기관 등이 연이은 어선 사고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자, 어선 안전대책 긴급 점검에 돌입했습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최근 발생한 어선 사고 관련 보고를 받고 안전대책 추진 상황 점검 및 재발방지를 위한 논의를 주재했습니다.
해수부는 지난해 5월 조업 관리 강화, 사고 대응 역량개선, 안전한 어선 건조 등을 내용으로 한 '어선안전대책'을 발표, 추진 과제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강 장관은 "최근 연이어 발생한 어선 사고는 기존 어선안전 시스템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경고신호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기후변화, 선원 고령화 등 변화하는 어업환경을 고려해 사고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간의 어선 안전대책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 어선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했습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1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어선사고 긴급 현안회의를 통해 안전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 재발방지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해수부는 최근 발생한 어선 전복, 침몰, 화재 사고 등에 대해 '해양사고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위기단계를 발령한 상태입니다.
특히 지자체,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수협 어선안전조업국 등 해양안전 관계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등 전반적인 점검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수협중앙회의 경우는 내달까지 대형 인명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근해어선 및 원거리 조업 어선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합니다.
안전점검은 전국 주요 항포구에서 입항 시 통신장비, 항해장비, 구명조끼, 구명뗏목 등 안전장비의 이상 유무입니다. 특히 선장 및 선원을 대상으로 안전조업에 필요한 필수 안전수칙 교육도 함께 이뤄집니다.
3월 말까지 대형기선저인망 업종을 시작으로 대형선망, 근해통발, 근해연승 등 업종·지역별로 점검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소속 어선 110척을 대상으로 일제 점검에 돌입한 대형기선저인망수협은 오는 19일까지 이어갈 계획입니다. 조업 중인 어선도 일정을 줄이는 등 입항과 동시에 집중 점검을 받게 됩니다.
임정훈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조업에 임하기로 조합원 모두가 약속함에 따라 이번 특별점검에 동참했다"며 "이번을 계기로 어업 현장의 안전문화 정착에 대형기선저인망수협이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어업인들이 소중한 생명을 잃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바다를 만드는 데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수협중앙회는 내달까지 대형 인명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근해어선 및 원거리 조업 어선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사진=수협중앙회)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