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포기할 수 있다"고 밝혔던 '전 국민 25만원 지원' 방안을 이른바 '슈퍼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다시 포함시키면서 정치권의 포화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상속세 공제 확대'와 반도체특별법 등 이 대표의 '우클릭'에 대해 여권은 대선을 고려한 '가짜 우클릭'이라고 폄훼하고 있습니다.
16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전 국민 25만원 소비 쿠폰 (지급은) 포퓰리즘이라고 본다"며 "전 국민 25만원 지급에는 약 13조원이 들어가는데 표 의식한 포퓰리즘이고 경제 진작 효과도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은 민생회복에 24조원을, 경제성장에 11조원을 투입하는 총 35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제안한 상태인데요. 민생회복 24조원 중 가장 큰 비중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으로 약 13조원을 차지합니다.
이는 5122만명의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을 지급하고, 기초수급자와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에 10만원을 더 지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데요. 이는 이 대표가 정부·여당과의 협상을 위해서라면 포기할 수 있다고 밝혔던 '1인당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정책과 궤를 같이 합니다. 1인당 25만원 지원금 포기는 이 대표 우클릭 행보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권 원내대표는 "결국 이재명 대표가 말하는 실용주의란, 자신에게 유리하면 언제든 말을 바꾸는 실언주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야권 잠룡들의 지적도 이어져왔습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지난 13일 이 대표와 만나 "당의 정체성이나 노선을 바꾸는 것은 민주적 토론과 숙의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최근 인터뷰에서 "당의 본질을 규정하는 정책 부분을 그렇게 당 대표가 일방적으로 쉽게 바꿔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이 대표는 '상속세 현실화'에 대한 목소리도 거듭하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 15일 페이스북에 "다수 국민이 혜택 볼 수 있도록, 세금 때문에 집 팔고 떠나지 않고 가족의 정이 서린 그 집에 머물러 살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일괄 공제 5억원, 배우자 공제 5억원을 각 8억원과 10억원으로 증액'이라는 민주당 안을 공개했습니다.
이에 권 원내대표는 "지난해 12월10일 민주당이 상속증여세법 개정안을 부결시켰다. 이 대표는 말로만 기업 경쟁력을 외치며 정작 반기업 반시장 입법에 매진하고 기업을 위한 합리적 세제개편을 부자 감세라고 비난하며 계층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며 "민생 이야기하면서 국민이 피땀 흘리며 일궈온 재산을 과도하게 징수하는 불합리한 세제를 고수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 대표는 오는 20일 국회에서 국정협의회 4자 회담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당 회의에서 여·야·정은 추경과 반도체특별법, 연금개혁 등의 현안에 대한 합의점을 도출한다는 계획입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