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대한민국조종사노동조합연맹(이하 연맹)이
제주항공(089590)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의 조종사 과실 프레임을 강하게 비판하며, 유가족과 공동 대응 및 법적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지난 1월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수색대원들이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연맹은 22일 “사조위는 정확한 데이터를 제시하지도 않은 채 조종사 과실을 전제로 여론 몰이를 시도했다”며 “사고의 공정한 조사를 위해 모든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19일 사조위가 발표를 예고했던 엔진 정밀 조사 결과 브리핑 관련해 연맹이 심각한 우려를 드러낸 것입니다. 당시 사조위는 무안공항에서 유족을 대상으로 연 사고기 엔진 정밀 조사 설명회에서 “엔진 결함은 없었으며, 조류 충돌 이후 조종사가 충돌로 더 크게 손상된 우측 엔진이 아닌 좌측 엔진을 끈 정황이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런 설명에 대해 유족 협의회 측은 ”179명의 희생자를 낳은 참사를 두고 사조위가 제대로 된 조사 역량도 갖추지 못한 채 결론을 서두르고 있다. 전문성과 투명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아 조사를 신뢰할 수 없다“며 반발해 브리핑은 무기한 연기됐습니다.
연맹은 이해 대해 “사조위는 ‘조종사가 엔진을 정지했다’는 사실만을 부각하며 언론 브리핑을 시도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유가족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이미 조종사의 책임이 정해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질문지가 제공됐다”며 “이는 유가족을 짜여진 연극에 이용하려 한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연맹에 따르면, 국토부가 고용한 민간 자문단에 사조위의 브리핑 내용이 사전에 전달됐고, 이를 바탕으로 조종사 과실을 유도하는 질문이 만들어졌습니다. 자문단은 유가족에게 사조위를 만나면 해당 질문을 하라고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질문 내용은 ‘만약 두 엔진이 모두 고장 난 상황이었다면, 조종사들의 비상 대처는 절차에 따라 제대로 이루어졌나요?’, ‘대처 과정에는 문제가 없었습니까?’ 등이 포함돼 있었습니다.
연맹은 “(답변은) ‘조종사들의 비상 대처는 문제가 있었다’로 정해져 있다”라며 “항공에 대해 전문 지식이 없는 유가족을 이용하려 했다는 부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끝으로 연맹은 “유가족이 지정한 민간 전문가를 조사에 참여시켜야 한다”며 “우리 연맹은 유가족 협의회와 공식 공동 대응을 제안했고, 향후 사고 조사가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끝까지 감시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