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승재 기자] 올해 임금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SK하이닉스 노사의 교섭이 노조측의 결렬 선언으로 일시 중단됐습니다.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모습. (사진=연합뉴스)
29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전날 이천캠퍼스에서 ‘2025년 10차 임금 교섭’을 열었습니다. 이번 교섭에서 사측은 진전된 초과이익분배금(PS) 기준과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 등을 추가로 제시했지만 노조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입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PS를 지급해왔습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영업이익 23조4673억원)을 달성하며 올해 초 기본급 1500%의 PS와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했으나, 노조는 이보다 높은 수준의 특별성과급이 지급돼야 한다고 주장해 갈등이 빚고 있습니다.
이에 노사는 올해 교섭에서 임금 인상률 외에 새로운 PS 기준을 협의 중인 상태입니다. 이번 교섭에서 사측은 실적과 성과에 상응하는 성과주의 보상 원칙하에 기존 제시안에서 진전된 PS 기준을 추가 제시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 10% 내 당해 연도 지급한도 재설정이 가능하고,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 및 지급 방식은 추가 논의하자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앞서 사측은 지난달 진행된 8차 교섭에서 기존 1000%까지 지급되던 PS의 상한선 기준을 1700%로 상향하고, 1700%를 지급하고도 남은 영업이익 10% 재원 중 50%를 구성원들의 PS 재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PS로 지급한 후 남은 재원의 절반을 적립해 다시 구성원들에게 돌려주고, 나머지 절반은 미래 투자 등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사측은 이번 10차 교섭에서 직전 제시안(8차 교섭)을 고수하지 않고 유연하게 조정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노조는 영업이익 10%를 모두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결국 양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교섭 결렬로 이어진 것입니다.
노조측은 “회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낮은 임금 인상안과 성과급 기준안에서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고수했다”며 “어떤 조정 의지도, 타협 노력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10차 본교섭을 끝으로 2025년 임금 교섭의 결렬을 공식 선언한다”며 “지금부터 우리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강경 투쟁의 최종 국면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측은 “회사의 유연한 입장 변화에도 조합에서 일방적 교섭 결렬을 선언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연초 구성원에게 약속한 대로 새로운 PS 기준에 대한 논의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