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 마이크로니들 기술 진척…알약 흡수율 160배

초기 약물 흡수 실험서 주사제 대비 생체이용률 80%

입력 : 2025-08-13 오전 8:58:23
대웅테라퓨틱스가 개발한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6.7배 확대 촬영한 모습. (사진=대웅제약)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대웅제약(069620)과 대웅테라퓨틱스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탑재한 자체 개발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초기 약물 흡수 실험(Pilot PK)에서 주사제 대비 생체이용률이 80% 이상에 달하는 결과를 확보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험은 대웅테라퓨틱스가 자체 개발한 약물전달 기술 플랫폼 클로팜(CLOPAM)을 적용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에 대한 글로벌 최초 인체 적용 결과입니다.
 
연구에선 건강한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대웅테라퓨틱스가 개발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피부에 부착해 체내에 흡수된 약물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뒤 같은 조건에서 기존 비만치료제인 세마글루타이드 피하주사를 투여했을 때 혈중 농도를 측정해 두 약물 간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비교했습니다.
 
두 제형의 투여 용량 차이를 보정해 동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주사제 대비 80% 이상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나타냈습니다. 피하주사 제형의 약물 흡수율을 100%로 보면,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약물은 80% 이상이 효과적으로 체내에 흡수된 겁니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이는 동일 성분을 담은 기존 마이크로니들 패치들이 약 30% 수준의 생체이용률을 보였던 것과 비교해 최고 수준의 농도를 구현한 결과입니다.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제와 비교하면 약 160배 높은 수준입니다.
 
여기에 혈중 농도가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고용량 세마글루타이드를 단일 패치에 담아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됐습니다. 주사제와 비교했을 때 약물 노출 양상에서도 높은 일관성을 보여 패치형 비만 치료제로서의 상업화 가능성도 가시권에 들어왔습니다.
 
대웅테라퓨틱스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기술이전 및 공동 개발, 라이선스 아웃 등 다양한 협력 모델을 통해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과 상업화 논의를 추진 중입니다.
 
강복기 대웅테라퓨틱스 대표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은 높은 생체이용률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약물 전달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고용량 세마글루타이드를 단일 패치에 탑재해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수준의 약물 전달 효율을 입증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기존 비만 치료용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이를 통해 글로벌 기술이전 및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마이크로니들 제형은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유망한 기술이지만 고용량 약물 전달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그런 기술적 장벽을 넘은 첫 사례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앞으로 다양한 바이오 의약품을 마이크로니들로 확장해 글로벌 플랫폼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동지훈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