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KT(030200)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이 지난 10일 발표된 수치보다 1.3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해 고객이 늘면서 피해액도 확대됐습니다. 사건의 유력 용의자로 지목된 40대 중국인들이 사용한 불법 소형 기지국이 추가로 발견된 영향입니다.
KT는 지난 11일 발표 이후 고객문의(VOC) 기반의 조사 결과에 신뢰도를 더하기 위해 6월부터 ARS 인증을 거친 소액결제 건을 전수조사한 결과 피해 고객과 피해 규모가 확대됐다고 18일 밝혔습니다.
광화문 KT 사옥. (사진=뉴스토마토)
KT는 결제 패턴과 통화 패턴을 결합해 면밀히 분석했으며, 이 중 불완전 로그가 발생한 사례를 선별한 뒤 해당 고객이 접속했던 초소형 기지국 정보를 종합해 의심 대상을 추려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정 시간대 비정상적으로 많은 접속이 발생하거나 소액결제가 짧은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경우 등 비정상 유형을 기준으로 데이터 분석을 거쳐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를 검출해냈습니다.
KT는 "이 과정에서 KT는 기존 상품권 소액결제 피해 외에도 교통카드 등 다른 유형의 소액결제 피해 사례를 추가로 확인했다"며 "피해 고객 수는 당초 278명에서 362명으로, 누적 피해 금액은 2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말했습니다.
또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2개 외 2개의 ID를 더 확인했고, 총 2만명이 4개의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해당 기지국 ID를 통해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와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폰 번호가 유출된 정황도 확인됐습니다.
KT는 "다만 9월5일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추가로 확인한 피해 역시 모두 그 이전에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