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현대차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관세 등 복합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5년간 77조3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잡고, 60%에 해당하는 330만대를 전기차(EV), 하이브리드(HEV) 등 친환경차로 채울 예정입니다.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전경. (사진=현대차)
현대차는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더 셰드에서 글로벌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등을 대상으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중잔기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합니다. 해외에서 인베스터데이를 연 것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가 다시 한번 불확실성의 시기를 다시 마주했다”며 “글로벌 판매량 확대, 생산 거점 확보,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등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했습니다.
우선 현대차는 2026년부터 2030년 5개년간 77조3000억원을 투자하고,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8~9%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제시했던 70조3000억원보다 7조원 늘어난 중장기 투자 금액입니다. 투자 분야는 연구개발(R&D) 30조9000억원, 설비 38조3000억원, 전략 8조1000억원 등입니다.
관세 위기 극복을 위해 미국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현대차의 미국 투자금액은 2025년~2028년 기존 11조6000억원(88억달러)에서 15조3000억원(116억달러)으로 3조7000억원(28억달러) 늘어납니다.
현대차는 투자에 기반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EREV), 수소차 등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대폭 강화합니다.
먼저 전기차 캐즘 속 부상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 라인업을 2030년까지 현재의 2배인 18개 이상으로 확대합니다. 라인업은 엔트리부터 중형, 대형, 럭셔리를 모두 포함합니다.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가 내년 후륜 기반이자 첫 하이브리드차를 출시하고, 엔트리 하이브리드차 개발에도 나섭니다. 올해 출시된 신형 팰리세이드에서부터 탑재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확대 적용합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현대차는 지역 특성에 맞춘 신형 전기차를 유럽과 중국, 인도에서도 선보입니다. 내년 유럽에서는 소형 전기차 ‘아이오닉3’를 출시합니다. 중국에서는 올해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일렉시오’를, 내년에는 준중형 전기 세단을 내놓습니다. 두 차종 모두 중국에서 생산됩니다.
현대차는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로 2030년에는 총 555만대를 글로벌 시장에 판매할 계획입니다. 이는 올해 417만대와 비교해 33% 늘어난 수치로, 지난해 밝혔던 판매 목표와 동일합니다. 권역별로는 북미 26%, 인도 15%, 유럽 15%, 한국 13%, 중동 및 아프리카, 중남미, 중국 8% 등의 판매 비중을 유지할 방침입니다.
또한 친환경차 판매량을 2030년 330만대(2025년 100만대)까지 끌어올려 친환경차 비중도 현재 25%에서 60%까지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특히 최대시장인 북미에서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올해 30%에서 2030년 77%로 늘릴 방침입니다.
현대차는 올해보다 증가한 판매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로 확보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미국 HMGMA의 연산 규모를 현재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립니다. 올해 4분기 완공돼 내년 가동되는 인도 푸네 공장의 연간 생산규모도 25만대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내년 1분기 울산 신공장 완공 후에는 연간 20만대의 전기차도 양산합니다.
현대차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 CKD(반조립제품) 생산 거점도 확장해 25만대 이상의 생산능력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입니다.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