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국민의힘, 일주일째 '당내 성비위 의혹' 피해자 조사 없어

15일 윤리위 제소됐지만…'접수 확인' 연락조차 없어
국민의힘, 가해자로 지목된 A씨엔 '중앙당 당직' 부여
피해호소인 대한 2차 가해 심화…"법적 대응 고려할 것“

입력 : 2025-09-23 오후 4:51:26
[뉴스토마토 김현철 기자] 국민의힘이 윤리위원회에 제소된 당내 성비위 의혹 사건을 일주일째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피해호소인은 자신이 모 지역구 당협위원장인 A씨에게 당한 일을 당에 공식 제소했지만, 감감무소식입니다. 오히려 당은 가해자로 지목된 인물을 중앙당 당직자로 임명해 논란이 커질 전망입니다. 
 
23일 <뉴스토마토>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15일 국민의힘 윤리위에 A씨를 제소한 B씨는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 당으로부터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앞서 본지가 지난 11일 (단독)국민의힘 성비위 의혹 내부고발 '침묵'...2차 가해 방조,14일 (단독)국민의힘 성비위 의혹, 윤리위 제소 기사 등을 통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23년 2월17일 당시 인천시청 특보였던 A씨는 인천 남동구의원들과 함께 저녁을 먹은 뒤 라이브 주점으로 옮겨 2차를 했습니다. 그런데 2차 장소에서 A씨가 참석한 여성 구의원 B씨에게 불필요한 신체 접촉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사건으로부터 1년이 지난 2024년, A씨가 22대 총선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당시 일은 국민의힘 클린공천지원단에까지 제보가 됐습니다. 그럼에도 국민의힘은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고 사건을 종결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본지의 최초 보도와 관련해 "B씨가 지금이라도 용기를 내 제소한다면, 당은 정해진 절차대로 사실관계를 밝혀 조치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B씨는 이런 당의 자세를 믿고 직접 제소를 한 겁니다. 하지만 B씨는 일주일째 당으로부터 어떤 연락도, 조사도 받지 않고 있습니다. 심저어 제소장 접수 확인이나 향후 일정에 대한 통보도 받지 못했습니다. 
 
이에 대해 B씨는 "국민의힘이 윤리위에 제소해서 다투라고 했으면서 정작 제소하니까 침묵하고 있다"며 "이것이 국민의힘의 진정성인지 묻고 싶다"고 했습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2020년 10월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남중빌딩에 위치한 새 당사에서 현판식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제소 일주일...가해 지목인 중앙당직 임명
 
반면 국민의힘은 B씨가 A씨를 윤리위에 제소한 당일, 당 최고위원회를 거쳐 A씨를 중앙당 당직자로 임명됐습니다. 당내에서 A씨의 입지, 모 지역구에서 A씨의 영향력이 더 막강해진 겁니다. 
 
특히 내년 6월에 치러지는 9회 지방선거 때 A씨는 당협위원장 자격으로 지방의회 의원에 대한 공천권까지 행사하게 됩니다. 윤리위가 지금 성비위 의혹을 규명하지 않으면, 사건의 진실은 영원히 묻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총선 당시 A씨는 성비위 의혹에 대한 제보자 색출에 나선 바 있습니다. 2024년 4월 상대 후보 측이 A씨의 '성비위 의혹'이 담긴 성명을 발표하자 A씨는 B씨, 당시 술자리에 동석한 C씨와 3자 대면을 했습니다.이 자리에서 A씨는 "그날 자리엔 9명이었는데, 그 9명 중에 누가 흘린 거죠?"라며 "이건 내부에서 100% 나간 거예요"라고 하면서 제보자 색출을 시도했다고 합니다. 
 
당시 3자 대면에 참석했던 현직 구의원인 C씨 역시 내년 지방선거 때 다시 출마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씨가 행사할 공천권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자칫 C씨가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인 겁니다. 
 
B씨는 2023년 2월17일 라이브주점 사건의 목격자로 동료 구의원 D씨를 지목했습니다. D씨는 A씨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미치는 인물이 아니지만, B씨에게 사건 자체를 부인하도록 설득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는 앞서 라이브 주점에선 B씨에게 'A는 당협위원장 될 사람이니까 잘해'라는 말까지 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B씨를 향한 2차 가해는 더욱 심화하고 있습니다. B씨는 "지난 1년 반 동안 온라인 단체 대화방에서 쫓겨나고 지역구 행사에서도 배제됐는데, A씨를 윤리위에 제소한 뒤엔 상황이 더 악화됐다"며 "이제는 동료들로부터 아예 투명인간 취급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특히 "정치 생명이 끝날 수 있다는 두려움 속에서도 용기를 냈는데, 당은 오히려 가해자를 중앙당 당직자로 임명해 권력을 강화시켰다"고 비판했습니다. 
 
지난해 클린공천지원단 제보도 묵살
 
B씨의 사건이 당내에서 제대로 다뤄지지 않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2대 총선을 앞둔 2024년 3월17일 국민의힘 클린공천지원단에 이번 의혹이 익명으로 제보됐지만, 당시에도 당은 사실 확인 없이 사건을 종결했습니다. 당시 제보엔 구체적인 날짜와 장소, 참석자 명단까지 포함됐지만 당은 "피해자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B씨는 당이 계속 침묵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B씨는 "당규에 따른 정당한 제소를 했는데도 아무런 조치가 없고, 오히려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이 승승장구한다면 법의 판단을 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리위 신고 건은 당규에 따라 비밀 유지 의무가 적용된다. 진행 상황 등은 외부에 공개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김현철 기자 scoop_press@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현철 기자
SNS 계정 : 메일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