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차철우 기자] 윤석열정부 당시 기능이 축소된 통일부가 조직개편을 단행합니다.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 구현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이 제시한 'END(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 이니셔티브'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8월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AI G3 강국 신기술 전략 조찬 포럼'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3실 3국 체제 유지…정원 600명으로 조정
통일부는 14일 남북 대화와 교류·협력 중심의 '조직 복원'을 골자로 한 개편안을 공개했습니다. 윤석열정부 당시 617명이던 정원은 81명을 감축해 533명이었지만, 이번 개편을 통해 67명을 늘려 600명으로 조정됩니다. 통일부는 3실 3국 체제를 유지하면서 본부 산하에 2단(남북회담본부·평화협력지구추진단)을 추가하며, 과는 33개로 확대됩니다.
앞서 지난 정부 당시 신설된 남북관계관리단은 폐지됩니다. 관리단이 맡았던 대화·연락·출입, 교류 협력, 개성공단 기능은 각각 남북회담본부, 평화교류실, 평화협력지구추진단이 담당합니다.
남북회담본부는 남북 회담 대책 수립, 남북 회담 운영, 남북 연락 채널 복원·가동, 남북 출입 관리 등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평화교류실은 한반도 평화 경제 및 공동 성장의 미래 준비, 인도 지원·호혜적 남북 협력 기능을 맡습니다. 평화협력지구추진단은 평화협력지구 기획과 개성공단 지원 등 2개 과로 구성되며,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와 평화경제특구 조성을 추진합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8년 9월19일 평양 옥류관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오찬을 마친 후 특별수행원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당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당시), 김 국무위원장, 문 전 대통령, 이해찬 민주당 대표(당시), 이정미 정의당 대표(당시), 최문순 강원지사(당시). (사진=평양사진공동취재단.뉴시스)
사회문화협력국으로 재편…교류·복원 방점
북한 인권 문제 대응을 전담한 인권인도실도 사라집니다. 대신 남북 사회·문화 교류 추진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담당하는 사회문화협력국으로 재편될 방침입니다. 신설 조직으로는 이재명정부 국정 과제인 사회적 대화를 추진할 한반도정책경청단이 설치됩니다.
통일부는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이 대통령의 대북 정책인 END 이니셔티브를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3일(현지시간) 제80차 유엔 총회에서 END 이니셔티브 구상을 소개했는데요. 이는 남북 간 교류를 복원하고 실질적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새로운 대북 정책입니다.
차철우 기자 chamato@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