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강진규기자] 정부가 지난 13일 서민 물가안정 종합대책을 내놨지만 물가는 여전히 불안하고 이달 소비자물가가 4%에 달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일 '최근 물가안정의 원인과 대응책' 보고서에서 이같은 물가 불안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 생활물가 안정을 위한 미시적 대책에 초점을 둬야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농산물 생산의 불확실성을 완화를 통한 가격변동성 요인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최근 물가상승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중국 수출물가 상승 확대 등 차이나플레이션의 전이 위험이 국내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목한 반면 "수요요인은 미미하다"고 진단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상승은 국내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에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이미 지난 1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5% 올랐고, 생산자물가는 5.3%, 수입물가는 12.7%가 급등했다.
여기에 지난 14일 기준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93.2달러를 기록해 100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이상후기로 농축수산물 값도 큰 폭의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국내 물가가 4%까지 급등할 것이란 근거다.
또 중국의 인건비 상승에 따른 기업의 원가상승압력과 위안화 절상 압력이 커지는 것도 중국제품의 수출가격 상승압력으로 작용해 국내물안에 전이될 것이란 분석이다.
연구소는 "물가상승의 주요원인이 해외발 공급요인"이라며 "단기적으로는 정책선택의 폭이 넓지 않음에 따라 미시적 가격안정화 대책에 초점을 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공공요금 동결, 전월세와 농산물값 안정, 교육비인상억제 및 불공정거래 단속 등 서민생활과 직결된 생활물가 안정을 중심으로 미시적 가격관리대책이 효율적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농산물 수요가 비탄력적인 반면 공급측면에서의 불확실성에 따라 가격변동성이 크므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에 있어서 가장 초점을 둬야 할 부분은 생산의 불확실성 완화를 통한 가격변동성 요인의 억제"라며 "농산물 가격안정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