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강진규기자] 최근의 전셋값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이같은 전세값 상승이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최근 전세가격 상승 배경과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최근 주택시장 침체로 주택 구입이 크게 줄면서 전세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민총소득(GDP) 대비 체감경기인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이 낮은 수준을 지속하면서 소득을 통한 주택 구입 여력도 약화되고 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 연구위원은 이같은 전셋값 상승 전망에도 불구하고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시기상조라고 분석했다.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은 지난 2009년 1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2년동안 전국은 4.8%포인트, 수도권은 6.7%포인트가 올랐다.
하지만 2002년 초 전셋값 상승이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질 당시 전세값/매매가 비율은 전국이 68.9%, 수도권 66.4%였지만 지난해말에는 전국 57.1%, 수도권 46.5%로 아직 전셋값이 추가 상승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임 연구위원은 최근 전세값 상승 배경을 수요측면에서는 주택값 하락에 따른 주택매매수요의 전세 수요로의 전환, 주택값 하락과 보금자리주택 등 저가 주가 공급을 기다리는 주택매매 대기 수요 증가, 재개발과 재건축에 따른 전세 이주 수요를 꼽았다.
또 공급측면에서는 국내 경기 부진과 금리 상승에 따라 주택 임차구조가 전세에서 월세와 전.월세 혼합병으로 변하면서 전세 공급이 줄어드는 것, 주거용 건축허가 감소 등에 따른 전세 주택 공급 감소, 전세 전환 비율이 높은 소형 주택 공급 감소를 지적했다.
임 연구위원은 "전세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전세수요 감소 유도를 위해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기간을 연장하고, 고령자 가구 등을 고려한 중소형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재개발·재건축을 시차를 두고 실시해 이주 수요를 조절하고, 미분양아파트 등을 활용한 전세물량 확보 등으로 전세수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