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그린신사업에 8조 투자..1만개 일자리 창출

입력 : 2011-09-25 오후 4:20:03
[뉴스토마토 한형주기자] LG(003550)그룹은 오는 2015년까지 8조원을 투자해 1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그린신사업 전략을 25일 확정했다.
 
또 이를 통해 660여개 중소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 적극적인 동반 성장을 추진한다.
 
이는 지난 6월 'LG 중장기 전략보고회'에서 구본무 회장과 각 계열사 최고경영책임자(CEO), 사업본부장들이 그린신사업 추진 현황을 논의한 데 이어, 2020년까지 그룹 전체 매출의 15%를 그린신사업에서 달성코자 한 '그린 2020'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다.
 
◇ 2015년 그린신사업에서 10조 매출 계획
 
LG는 차세대 성장동력인 전기자동차부품·발광다이오드(LED)·태양광·수처리사업 등 그린신사업에 올해부터 2015년까지 8조원을 투자해 핵심 기술력을 확보하고 시장을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2015년  이 분야에서 10조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그린신사업에서 1조5000억원의 매출을 올린 LG는 올해 이보다 두배 증가한 3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사업은 LG화학(051910)의 10만대 생산능력(Capa)을 2013년 35만대로 확대하고 2015년까지 세계 시장점유율(M/S) 25% 이상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사업은 LG전자(066570)가 태양전지 셀·모듈의 광효율 향상과 양산 규모 확대 등에 주력한다. 
 
현재 330메가와트(MW)의 생산 규모를 2~3년 내에 1기가와트(GW)급으로 확대하는 한편 2015년 세계 시장 선두업체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또 LG화학의 폴리실리콘과 LG실트론의 태양전지 웨이퍼 등 태양전지 핵심소재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투자를 시작, 폴리실리콘(LG화학)-웨이퍼(LG실트론)-셀·모듈(LG전자)-발전소 운영(LG솔라에너지)으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한다는 전략이다.
 
수처리 사업에선 LG전자가 최근 일본의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와 손잡고 합작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국내 공공 수처리 분야 주요 운영관리 전문업체인 대우엔텍을 인수, 본격적으로 사업에 시동을 걸고 있다.
 
LED 사업은 LG이노텍(011070)이 LED칩과 패키지, 모듈 등 전 생산공정을 갖추고 있는 파주 LED 공장을 바탕으로 2015년 세계시장 점유율 10% 이상을 확보해 세계 1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 그린신사업 분야 1만개 일자리 창출
 
LG는 그린신사업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와 함께 2015년까지 1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생산 규모를 늘리고 있는 LG화학 오창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과 LG실트론 태양전지 웨이퍼 공장의 고용인력이 급증할 것으로 그룹 측에선 전망하고 있다.
 
또 얼마 전 건설에 착수한 LG전자 평택 미래성장동력 단지와 LG화학 여수 폴리실리콘 공장 등 그린신사업 생산거점이 2014년부터 본격 가동되면, 대규모 신규 고용이 일어날 것이란 관측이다.
 
◇ 660여 중소기업과 협력 관계 구축
 
LG는 2015년까지 그린신사업에서 660여개 중소기업과 신규 협력 관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린신사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발굴, 동반성장 파트너십에 기반한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것.
 
선정된 중소기업은 LG와 그린신사업 분야 부품소재 등을 공동 연구하게 되며, 올해부터 5년간 1000억원 가량을 지원받는다.
 
LG 관계자는 "그린경영은 기업 생존과 성장의 필수요건이 됐다"며 "그린신사업 육성에 자원을 집중해 일자리 창출과 동반성장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LG 그린신사업 주요 생산 거점>
  <자료 : LG>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한형주 기자
한형주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