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설·추석 등 민족 대명절이 되면 정부부처 장관들은 너도 나도 재래시장을 찾기 바쁘다. 재래시장 상인들이 어려워지자 명절 제수용품을 재래시장에서 구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인 중에는 이같은 정부의 배려에 '고맙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쇼하러 왔구나'라고 치부하는 사람도 있다.
대형마트가 우후죽순 확장되면서 재래시장 상권이 약해지자 정부는 각종 지원책을 내놓으며 재래시장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정책이 재래시장 상인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짐이 되는 경우도 있다. 온누리상품권과 마트 영업시간 규제가 대표적인 예다.
지난해 2009년 8월 정부가 발행한 온누리상품권은 새마을금고에서 거래되며 전국 606개 전통시장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정부 지침에 따라 공공기관뿐 아니라 삼성과
현대차(005380)·
LG(003550)그룹 등이 온누리 상품권 구매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에 있는 시장 315개 중 197개의 시장 상인들이 상품권 받기를 꺼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추석 때 선물로 들어온 온누리상품권을 가지고 모래내 시장을 찾은 양모 주부는 "가는 곳마다 상품권으로 결제하려고 했지만 모두 거부당했다"고 토로했다.
대표적인 전통시장인 남대문과 동대문 평화시장·영등포 공구상가 등도 온누리 상품권을 받지 않지 않고 있는 실정.
오죽하면 송종호 중기청장은 본인이 상품권을 잘 팔테니, 시장 상인들에게 상품권을 좀 잘 받도록 교육시켜 달라는 요청까지 했다고 한다. 상인들이 온누리상품권을 거부해 이와 관련한 민원이 많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처럼 발행된지 2년이 넘은 온누리상품권이 인기를 끌지 못하는 것은 '홍보 부족'과 '소액발행' 때문이다. 현재 상품권의 40%를 현금으로 내줘야한다. 발행되는 온누리 상품권은 5000원권·1만원권 두 종류 뿐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손님이 3000원짜리 물건을 사기 위해 온누리상품권 5000원권을 내면 2000원을 거슬러줘야 한다. 상인들은 이 같은 소액을 위해 새마을금고를 거치는 것을 번거롭게 느끼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지난해 12월30일 대형마트와 대기업슈퍼마켓(SSM)이 0시부터 오전 8시까지 영업을 못하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진병호 전국상인연합회장은 "모두 잠자는 밤 12시부터 새벽까지 대형마트가 문을 닫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대형마트의 영업 시간을 규제하는 것보다 품목을 제한해 달라"고 강조했다.
채소와 고기 등의 1차 식품은 시장에서 팔고, 공산품 등 나머지는 제품은 대형마트에서 팔도록 해 공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통시장 고객이 구매한 상품은 농수축산물이 51.1%로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진 회장은 "재래시장 입구에 버스 정류장을 유치해 손님이 버스에서 내려서 시장에 들렀다 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상권을 살리는 데 더 도움이 된다"라고 강조했다.
법 개정이나 제도 신설 등 거창한 방법을 통해 재래 시장을 살리는 것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상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한다.
현장의 소리를 들으러 나간 장관들은 서민들이 하는 말에 더 귀를 기울이고, '검토하겠다'라는 애매한 발언을 내놓기 보다는 소신을 가지고 정책에 힘을 싣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임애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