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제언 기자]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의 정책을 잘 활용하면 오히려 투자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최근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실망스런 수치를 보이며 중국 경기가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 정부는 부양책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박지원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4일 "중국의 GDP 성장을 위해서는 이미 GDP의 49%나 되는 투자 부분 보다는 내수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과 부동산 버블이 이슈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부가 주도하는 고정자산 투자를 증가시키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또 순수출의 경우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당분간 둔화 흐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이유로 중국 정부에서는 내수 확대 의지가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
전지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은 경기발전전환을 통한 경기성장을 유지하려 한다"며 "그중 소비시장 확대는 필수적이기 때문에 정책당국은 지속적인 소비촉진책을 진행하려는 의지를 피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선엽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다소 과도한 것도 사실"이라며 "내수확대를 위한 추가 부양안 제시 가능성도 크다는 점에서 조정 받은 종목에 대해 너무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고 전했다.
또 증권가에서는 중국이 다음달 2일부터 5월4일까지 '소비촉진의 달'에 들어간다며 중국 소비에 대한 관심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소비촉진의 달은 작년 10월 '12차 5개년 계획'에서 결정된 내수소비 확대 목적 정책 중 하나다. 중국에서는 올해부터 1년에 한 번, 한 달 정도 기간을 정한 뒤 소비 확대에 대한 판촉행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처음으로 시행되는 소비촉진의 달에 어떤 세부 정책들이 나올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박지원 연구원은 "중국 부유층의 소비 트렌드를 보면 절반 이상이 해외 브랜드를 선호하고 있다"며 "이 경우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소비재 기업들의 이익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중국 기업 등 중에서도 인터넷, 생활가전 등 로컬 브랜드 충성도 높은 기업들 역시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음식료, 유통, 자동차·부품 업종 등이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중국에 진출해 있던 음식료와 유통 업종은 중국의 내수 소비시장이 상승하면서 긍정적이고 소득 증가로 경기소비재 부분의 수요가 증가하며 국내 자동차 업종 등도 수혜를 기대할 만하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