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명정선기자] 대출 학력 차별, 서류 조작 등으로 신뢰가 추락한 은행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신뢰 회복을 위해 대출 최고 금리를 앞 다퉈 내리고는 있지만 결국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달 가계와 기업대출 최고금리를 18%에서 15%로 3%포인트 낮췄다.
앞서 기업은행도 지난달 초 중소기업 대출 최고금리를 12%에서 10.5%로 낮추고 가계와 대기업 최고대출금리도 13%로 캡을 씌웠다.
뒤 이어 신한은행은 기업대출 최고금리를 15%에서 12%로, 가계대출 최고금리는 17%에서 14%로 3%포인트씩 낮췄고, 하나은행은 가계대출 최고 금리를 현행 16%에서 14%로 내렸다.
최근에는 부산은행과 대구은행 등 지방은행도 대출금리 인하에 동참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대출 최고금리를 기존 17%에서 14%로 3%포인트 낮추고 대구은행과 부산은행도 대출 최고금리를 내렸다.
은행권이 잇따른 대출금리 인하에 나서는 이유는 지난 7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담합 논란 이후 시중은행들이 추락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함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대출을 조이면서 은행권의 이자 수익이 감소하는 등 경영사정이 악화된 점도 한 몫했다는 지적이다.
한 시중은행의 부행장은 "금융당국이 대출을 조이니 신규대출을 크게 늘리기는 어렵고 대신 타 은행의 대출 자산을 가져오는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며 "대출금리 인하나 고금리 예금상품이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은행권의 이 같은 출혈 경쟁은 장기적으로는 '제살 깍아먹기'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4분기 2.35%에서 올 1분기 2.16%, 2분기 2.13%로 매분기 하락하고 있다.
은행들의 건전성 지표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자산건전성 지표인 BIS비율은 2010년 말 14.55%로 정점을 찍은 후 2011년 말 13.96%, 올 3월말 13.88%, 6월말 13.83%로 하락하고 있다.
BIS비율 하락은 자기자본 대비 위험가중자산의 비중이 더욱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2분기 중 KB국민은행, 외환은행, 산업은행의 위험가중자산이 3조6000억~3조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특정 은행이 대출규모를 확대하려고 할 때 경쟁 은행이 질 나쁜 여신을 의도적으로 떠넘길 수도 있다"며 "당장 마진 폭은 확대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 건전성은 물론 수익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도 "현재까지는 적정한 자본을 확보하고 있어 문제없으나 대손비용이 증가할 경우 BIS비율의 급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내실 경영을 다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