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주연기자] 우리나라 가계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저신용층을 중심으로 연체비율이 증가하는 등 가계 건전성이 위험단계에 진입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개인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19일 발표한 '가계신용건전성동행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의 건전성은 3년 연속 하락하며 기준선(100) 아래로 떨어졌다.
가계신용건전성동행지수는 KCB가 자체 신용평가 자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각종 경제지표를 적용해 개발했다.
이 지수는 2010년 101.12, 2011년 100.49로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는 결국 100 아래까지 내려앉아 1~6월 평균이 99.73을 기록했다. 가계 건전성이 계속 악화되다 이제 위험단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신용평가사들에 따르면 전체 신용등급 중 7~10등급의 저신용층 비중은 다소 감소했지만 제때 빚을 갚지 못하는 저신용자들이 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NICE신용평가정보는 7~10등급 비중이 지난해 말 14.5%에서 올해 14.4%(603만9071명)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KCB는 7~10등급자가 전체(4077만8888명)의 16.0%(652만4670명)로 지난해 말보다 0.7%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것으로 집계했다.
그러나 저신용층을 중심으로 모든 등급에서 '불량률'이 증가했다.
불량률이란 최근 1년간 채무 불이행으로 은행연합회에 통보되거나 3개월 넘게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대출자 비율을 의미한다.
NICE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빚을 연체한 대출자 비율은 전년보다 0.26%포인트 오른 2.21%로 나타났다. 100명 중 2명은 3개월 이상 빚을 연체한 것이다.
특히 7등급은 5.44%에서 7.12%, 8등급은 8.16%에서 10.01%, 9등급은 12.41%에서 13.39%, 10등급은 30.91%에서 34.46% 등 저신용자들의 불량률이 신용등급이 높은 층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KCB는 저신용층 불량률이 7등급 8.40%, 8등급 11.56%, 9등급 23.38%, 10등급 56.68%로 더욱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했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신용자들은 다중채무자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들이 추가로 과다한 대출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저신용자들의 부실이 금융권 전체로 전이되지 않도록 금융권은 부실채권을 조속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