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내 중소·중견 R&D지원 40%까지 상향

윤상직 장관 " 기술개발과 사업화 연계 강화"..올해만 1조원 투입

입력 : 2013-03-18 오후 12:00:11
[뉴스토마토 조정훈기자] 지식경제부가 지난해 기준 29% 수준인 중소·중견기업 R&D(연구개발) 지원 규모를 오는 2015년까지 40% 이상으로 끌어 올리기로 했다.
 
윤상직 지경부 장관은 18일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테라세미콘(반도체, 박막태양전지 장비 전문)을 방문해 "중소기업이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력이 필수인 만큼 이에 대한 R&D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 관련 정부는 올해 에너지산업 분야 연구·개발에 총 1조36억원의 자금을 투입할 방침이다.
 
에너지기술개발 예산 6798억원 중 1180억원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에너지효율향상 기술', '원전 안전관련 기술' 등 신규 중장기 과제 지원에 투입한다.
 
중소·중견기업 핵심부품, 소재 등 개발을 지원하는 서플라이 체인(Supply-chain) 구축사업 등 단기 신규과제에는 737억원이 지원된다.
 
 
기업 맞춤형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에도 403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인증인력 1200여명과 산업 전문 인력 4000여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윤 장관은 중소·중견기업들의 연구개발 관련 애로사항을 수렴하는 등 간담회를 직접 주재하며 "R&D 투자를 통해 기술력을 쌓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인들이 창조경제 주역으로 역할 해 달라"고 당부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중소·중견기업인들은 윤 장관에게 창의·자율 R&D 확대, 연구인력 활용 지원 등을 건의했다.
 
특히 기업이 연구주제를 직접 선정해 R&D를 수행할 수 있도록 ATC(자율형 과제)에 대한 예산 확대를 요구했다.
 
참석자들은 또 "중소·중견기업이 석·박사급 전문 연구 인력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 제품 상용화를 위해서는 실증 시험이 매우 중요하지만 일부 기업은 자금이 부족해 대규모 실증시험을 추진하기 곤란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지경부 관계자는 "자율형 과제를 지원하는 R&D 사업이 매출, 고용 등 사업화 성과가 우수해 중소·중견기업이 지닌 다양한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ATC 사업 등을 통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또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석·박사인력 채용지원 사업 예산을 지속 확대하고, 해당 석·박사 인건비에 대한 지원 비율 확대 등에 대해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올해 석·박사인력 고용 지원사업 예산은 120억원(850여명)이다.
 
한편, 지경부는 기술사업화 예산을 올해 403억원에서 2017년 2000억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초기사업화 펀드(DVF)를 조성(250억원)해 민간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을 집중 지원키로 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조정훈 기자
조정훈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