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양지윤기자] 중국 상무부가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한국과 미국, 유럽(EU)산 폴리실리콘에 대해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OCI의 대응 전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OCI는 생산 물량의 절반을 중국으로 수출하는 만큼 자구책 마련을 통해 이번 판정의 역풍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OCI는 우회 수출 전략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OCI는 중국 상무부의 폴리실리콘 반덤핑 예비판정에 대비해 우회 수출 전략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폴리실리콘 수출시 높은 관세가 부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가공된 원재료를 중국에 수출하는 방안을 구상중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웨이퍼를 통한 우회 수출을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꼽고 있다. 웨이퍼는 태양광 밸류 체인(가치사슬) 가운데 폴리실리콘 제조 다음 단계에 위치해 있다.
전문가들이 반덤핑 관세 부과의 방패막이로 웨이퍼를 가장 유력하게 보는 이유는 중국 현지 업체의 사정이 녹록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태양전지 원가에서 폴리실리콘이 차지하는 원가는 30% 정도 수준으로,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에 반덤핑 관세가 부과될 경우 웨이퍼 가격은 10% 내외의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는 셀과 모듈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쳐 업계 전반에 가격 인상을 초래한다. 가격 경쟁력이 주무기인 중국 업체에겐 반덤핑 판정이 되려 부메랑이 되는 셈이다. 때문에 중국 업체 입장에선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는 폴리실리콘을 들여오기보다 해외에서 가공을 거치는 우회 전략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 일부 중국 업체들은 지난해 10월 미국 상무부에서 반덤핑 최종 판정을 받은 뒤 우회 전략을 택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태양전지 셀·모듈에 대해 최고 250%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자 해외에서 태양전지를 조립하는 생산방식을 택했다. 문제가 됐던 모듈 원산지만 바꿔 미국으로 수출하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도 중국 업체들의 우회수출 통로로 이용돼 현재 2곳의 국내 모듈제조사가 이러한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는 것으로 관련 업계는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 태양전지 제조사에 대한 압박이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운신의 폭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미국은 셀·모듈의 원산지를 문제 삼고 있지만, 오는 5월 반덤핑 예비판정을 앞둔 EU는 반덤핑 예비판정 조사에 웨이퍼 업체까지 포함시켜 중국 업체들은 반덤핑 판정을 피해나갈 비상구 자체가 없는 상황에 놓였다는 분석이다.
세계 최대 수요처인 유럽과 신흥국으로 급부상 중인 미국이 공급과잉의 온상인 중국에 대해 집중 견제에 나서면서 OCI 역시 마련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주요 고객사가 몰린 중국에 집중한 대응 전략만으론 변화하는 시장 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힘들 것이라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EU, 중국이 태양광 산업을 두고 무역 분쟁을 벌이며 국내 기업도 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 "반덤핑 규제가 자국 산업 방어 위주의 무역장벽이다보니 일괄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OCI 관계자는 "현재 중국 상무부의 조사에 성실히 임하면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반덤핑 판정에 대한 합리적인 대응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상무부는 이르면 다음 주나 늦어도 다음달 초 한국과 미국, EU산 폴리실리콘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OCI를 비롯한 한국폴리실리콘, 웅진폴리실리콘 등 국내 태양광 업체들은 오는 20일 중국 정부에 재반박 의견서를 전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