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필현기자] 보건복지부가 이달 안으로 ‘사용량 약가 연동제’ 정책을 공표할 예정인 가운데, 다국적 제약사에 대한 견제 노림수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다.

‘약가 연동제’가 본격 시행되면 무엇보다 오리지널 약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제품 가격이 비싼데다 판매량이 많기 때문에 약가 인하 폭이 클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다수의 오리지널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다국적 제약사들로부터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매출 하락에 따른 실적 악화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다국적 제약사의 한 임원은 15일 “약가 연동제는 국내에서 제품 매출이 높은 오리지널 약을 타깃으로 약가를 인하하기 위한 정부의 계산이 깔려 있는 노림수”라며 “건강보험의 재정 측면만 고려한 불합리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이 임원은 그러면서 “우수 의약품 사용에 따른 국민 편익을 무시한 채 정부는 건보 재정 충당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제품 가격이 비싸고 많이 팔리는 약의 경우, 그만큼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약가를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A제품의 사용량이 높으면 그만큼 A제품에 대한 건보 재원이 많이 투입되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A제품의 약가를 깎겠다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노바티스의 백혈병치료제 ‘글리벡’의 경우 지난해 특이 질환치료제로서 효능을 인정받아 800억원 가량의 매출을 올렸다. 그만큼 건보 재정도 많이 투입됐다는 얘기다. 재정이 투입된 만큼 강제적 약가 인하에 대한 명분은 충분하다는 게 복지부 측 설명이다.
국내 제약사들도 불만이 있기는 마찬가지. 정부가 혁신형 제약사를 선정하면서 신약 개발 R&D 투자를 적극 장려하는 터라 오리지널 제품의 보유가 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는 제약기업의 전문화와 글로벌화에 초점을 맞춰 육성기업으로 성장시키고 있는데, 이번 정책은 오히려 제약 육성기업에 역행한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