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효정기자] 소비자물가와 물가에 영향을 주는 선행지표들이 좀처럼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디플레이션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4% 하락했다. 지난해 10월 0.5% 하락한 이후 9개월 연속 내림세다. 생산자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2~6개월 선행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저물가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앞서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지수도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월(0.8%) 이후 가장 낮은 물가상승률인 1.0%에 그쳤다. 한은의 물가 안정 목표인 2.5%~3.5%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 채 8개월째 1%대를 맴돌고 있는 모습이다.
경기 회복세마저 뚜렷하지 않아 디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정부 및 경제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최근 물가 하향 안정세는 농림수산품 가격 안정,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무상교육 등 공급이나 제도적인 요인에 기인한데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3% 내외로 나오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가 적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의 경기부양책 효과로 향후 내수가 늘면서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져 내년 물가상승률이 전년대비 2.8%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하반기 국내경기가 점차 회복된다면 그동안 미뤄왔던 공공요금이나 식료품 등의 가격도 조정될 수 있다”며 “올해 1%대를 넘어서기는 쉽지 않겠으나 내년에는 내수 회복을 전제로 2%대로 올라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잠재적인 디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물가가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가계는 소비를 늦추고 기업 투자는 위축되면서 물가 하락 압력이 더 커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거시경제실장은 “낮은 물가와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경제 성장률이 지속된다면 경기 부진의 악순환 고리가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 거시경제실장은 이어 “현재 국내경제의 상황이 디플레이션 진입 상황이라고 보긴 어
렵더라도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기 힘든 것이 디플레이션이기 때문에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제공=뉴스토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