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차현정기자] 얼마 전 한통의 야후 메신저가 채권시장을 술렁이게 했다. 내용인 즉슨 KTB투자증권 채권영업팀 절반이 KB투자증권로 옮긴다는 소식.
앞서 채권영업팀 전원을 하이투자증권에 뺏긴 KB투자증권은 '영업공백' 불과 한 달이 채 되기 전에 빈자리를 메울 수 있게 됐지만 이로써 KTB투자증권 채권영업팀 중 한 팀은 문을 닫게 됐다.
채권시장, 특히 브로커하우스를 중심으로 연쇄 인력 확보전쟁이 시작됐음을 보여준 것이다.
채권영업팀과 채권금융팀으로 구분된 2개의 채권브로커 하우스를 뒀다는 점에서 KTB투자증권은 이번 인력 이탈 사태로 채권영업의 절반만 잃은 셈이다. 하지만 실제 실적 타격은 절반 이상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KTB투자증권 채권금융팀의 경우 채권발행시장의 인수업무까지 담당하며 업계 리그테이블에서 꾸준한 상위권을 지켜왔기 때문이다. KTB투자증권은 조만간 또 다른 중소형 증권사로부터의 인력 확보를 위한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진다. 여의도 금융투자업계에 인력 도미노 현상이 줄 이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채권시장의 채권 중개인들은 "처음부터 장기간 고용하는 비율이 낮기 때문에 이직이 잦아 1년 내내 상시 채용할 수밖에 없다", "이직을 해야 몸값을 올릴 수 있다. 실력과 경력만 있으면 시기와 상관없이 자리를 옮길 수 있다", "연중 환영식과 환송식이 줄을 잇는다"고 말한다.
사실 채권영업 특성상 인력은 대부분 1년 계약직으로 운영되고 있고 스카우트가 잦은데다 팀 단위 이직 또한 보편적이다.
한 채권시장 중개인은 "주식 브로커리지와 달리 채권영업은 콘트롤 타워 역할의 임원과 호가를 불러줄 직원들 간의 관계가 두텁다"며 "사실상 형, 동생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때문에 팀 단위 이동, 이른바 '팀플'이 관행처럼 당연하게 이뤄진다는 설명이다.
경쟁사 간에 이뤄지는 스카웃 경쟁 행태에 대해 서로 대놓고 비난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이유기도 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언제든 뒷통수를 맞을 수 있다는 기분은 지울 수 없다"며 "타사에 영업인력을 뺏기면 그만큼 회사에 타격이 있기 때문에 우리도 스카웃 경쟁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또 "업무 연속성이 요구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고객 이탈과 영업력 저하를 무시할 수 없다"고 우려의 말을 보탠다.
한 채권영업 담당자는 최근 "신고식에서 들은 '정들 때까진 지냅시다'라던 인사가 뼈 있는 농담으로 들렸다"고 말했다.
채권시장의 씁쓸한 자화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