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연준, 신중모드..테이퍼링 속도낼까

입력 : 2013-10-31 오후 8:10:15
[뉴스토마토 김 진 양 기자] 앵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종전의 통화정책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시장의 기대보다 긍정적인 경기 평가를 남긴 탓에 테이퍼링, 즉 자산매입 축소에 대한 경계감은 다시금 높아졌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연준이 이달의 정례 회의에서 양적완화를 이어간다고 발표했어요, 충분히 예견된 결과였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연준은 지난 29일부터 양일간 10월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를 가졌습니다. 오늘 새벽에는 이틀에 걸친 회의 결과가 발표가 됐는데요, 우선 매달 850억달러의 국채와 모기지담보증권을 매입하는 종전의 통화정책을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실업률이 6.5%를 웃돌고, 1년에서 2년간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2.5%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지금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약속도 재확인했습니다.
 
전문가들 역시 연준이 통화정책 동결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했었는데요, 이달 초부터 약 보름간 지속됐던 연방 정부의 업무 중단 사태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이란 추측에섭니다.
 
앵커: 방금 셧다운에 따른 경제적 파장을 이야기했는데요, 정작 연준의 성명에서는 해당 언급은 없었죠?
 
기자: 네, 이날 연준의 성명을 보면 셧다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재정 정책이 경제 성장을 제약하고 있다"고 에둘러 표현했을 뿐입니다. 이에 대해 연준이 셧다운의 효과가 한시적인 것에 그칠 것으로 보고있다는 해석이 이어졌습니다.
 
오히려 연준은 미국의 경제 상황을 한달 전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요, 전반적으로는 "미국 경제가 완만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며 전과 같은 표현을 사용했지만 노동시장이 다소 개선됐다던지, 경제의 지속적인 개선이 보인다는 등의 구절이 등장했습니다.
 
또 금융긴축이 경제 전반의 성장세는 물론 노동시장의 회복 속도를 꺾을 수 있다고 경고했던 부분 역시 이달의 성명에서는 빠졌습니다.
 
앵커: 연준이 미국 경제를 낙관할 수록 테이퍼링의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은 아닌가요? 시장의 반응은 어땠나요?
 
기자: 네, 이날 연준의 통화정책 유지는 예견됐던 결과지만 경기 평가는 완전히 시장의 예상을 뒤엎는 것이었습니다.
 
연준이 생각보다 경제 상황을 좋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나며 금융 시장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는데요, 이날 뉴욕 증시에서 S&P500 지수는 사상 최고가 행진을 마쳤고, 국채 수익률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달러 역시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날 연준은 성명을 통해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하기 전에 경기가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더 많은 증거를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자산 매입은 미리 정해진 코스가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 전망과 정책 등의 효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주택 시장이 회복세를 잃었다며 처음으로 주택 경기 둔화를 언급하고 노동 시장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은 여전히 높다고 언급하는 등 양적완화를 지지하는 언급들도 있었지만 이전보다 온건적 태도가 약화된 탓에 테이퍼링이 예상보다 빨리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 다수를 이루고 있습니다.
 
앵커: 다시 시장의 관심은 테이퍼링 시기로 모아지고 있는데요, 가장 유력한 시기는 언제입니까?
 
기자: 네, 지금으로서는 내년 1월에 자산매입 축소가 선언될 것이란 전망이 가장 힘을 받고 있습니다.
 
다음달의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타날 경우 12월 테이퍼링 설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긴 하지만요, 연말 쇼핑시즌에 찬 물을 끼얹을 생각도 없을 뿐더러 앞서 잠정 합의한 예산안을 내년 1월 다시 논의해야 하는 점 등을 감안한다면 올해는 넘길 것이란 점입니다.
 
보다 온건적으로 바라본다면 3월 이후에 테이퍼링이 시작될 것이란 시각도 있습니다. 연준의 성명이 매파적인 성향을 보이기는 했지만 테이퍼링 시기를 앞당길 만큼의 큰 변화는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이밖에 버냉키 의장의 임기가 내년 1월 종료되는 만큼 그의 임기 중에는 정책 변화가 없을 것이란 주장도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진양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