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플랜텍이 결국 워크아웃에 돌입하게 됐다. 그동안 채권단과 모기업인 포스코의 줄다리기로 중간에서 마음을 졸였던 포스코플랜텍으로서는 잠시나마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앞서 포스코플랜텍은 5000여억원에 달하는 금융권 여신 중 최근 만기가 도래한 892억원의 대출원리금을 갚지 못해 지난달 26일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포스코플랙텍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은 3일 오후 3시 포스코플랜텍의 위크아웃 개시 여부를 결의하기 위해 1차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채권단은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채무유예 결정과 함께 워크아웃에 동의했다.
워크아웃은 채권단 75%의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다. 현재 포스코플랜텍의 채권 비율은 산업은행 36%, 외환은행 15%, 신한은행 14%, 우리은행 13%, 경남은행 6% 등이다.
산업은행은 “외부전문기관을 통한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8~9월 중 채무재조정을 포함한 경영정상화방안을 수립해 정상화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신청 이후 채권단과 모기업인 포스코는 지원 여부를 두고 신경전을 펼쳤지만 워크아웃 거부 시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채권단이 한 발 양보한 것으로 보인다.
법정관리에 돌입할 경우 채권단의 원금 손실은 물론 개인투자자들까지 피해가 미친다. 워크아웃이 금융기관의 채권만 유예되고 개인투자자들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아울러 포스코플랜텍의 법정관리행이 조선해양플랜트 업계에 미칠 영향도 감안했다는 평가다. 현재 국내 조선해양플랜트 업계는 국제 유가 하락으로 해양플랜트 발주가 급감하면서 경기가 꽁꽁 얼어붙은 상황이다.
이에 채권단은 일단 채무유예를 통해 시간을 벌고 그 사이에 포스코와 협의를 통해 지원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채권단은 포스코의 지원 약속 없이는 워크아웃에 동의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쳤고, 포스코는 지난 5년간 5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한 만큼 더 이상의 직접적인 자금지원은 없다고 버텼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채권단이 일단 한 발 양보한 만큼 포스코도 일감을 지원하는 등 간접 지원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 측은 “포스코플랜텍이 워크아웃을 진행함에 있어서 그룹 차원에서 채권단과 긴밀하게 협력해 포스코플랜텍이 신속히 정상화 되도록 조력함으로써 지역 경제 및 사회 일반의 피해를 최소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플랜텍 본사 전경(사진=포스코)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