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큰 기대 없습니다. 시늉만 낼 뿐이죠."(A운용사 관계자), "소규모펀드에 그칠 가능성이 높고 정리될 게 뻔한데 신규펀드 따로 구성할 필요 있나요."(B운용사 관계자)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비과세 정책 도입을 앞두고 최근 자산운용업계의 뒷말이 무성하다. 정부의 해외펀드 비과세 특례로 해외상장주식 투자비중이 60% 이상인 펀드에 투자하는 경우 해외주식 매매·평가차익과 이에 따른 환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에 비과세 혜택이 지원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2년 동안 가입하는 투자자에 한해 1인당 3000만원 한도다.국내주식형펀드나 해외주식직접투자시 양도소득세 22%(부가세 2% 포함)가 분리과세되는 것과 달리 해외주식형펀드는 주식 매매차익에 15.4%의 세금을 내야했다.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 펀드운용기술 선진화에 대한 긍정적 요인을 기대하며 호평 일색이었던 운용업계의 반응이 뜨뜻미지근하게 돌아선 것은 과거에 대한 해석에서 나온다. 2007년 해외펀드 열풍을 촉발한 해외펀드 비과세 조치를 되새겨보자. 한해 46조원 가까운 자금을 해외주식형펀드로 끌어모았고 같은 기간 이들 펀드 평균 수익률은 30.12%를 기록하며 9조원에 달하는 평가이익을 거둬들였다.
하지만 이듬해 찾아온 글로벌 증시 조정한파는 해외펀드 투자손실을 키웠다. 이어 단기금리 상승과 환율불안 등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며 호평은 악평으로 돌아섰고 결국 비과세 혜택은 폐지됐다. 아직 해외펀드 '쪽박대란'을 잊지 못하는 업계로서는 그 흑역사가 재현될 가능성이 두렵다.
더 큰 문제는 글로벌 증시불안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른다는 우려다. 중국발 충격이 거듭되며 글로벌 증시의 하락변동성을 자극, 큰 추세가 바뀔 것이란 목소리가 나오면서다.
그렇지만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궈서야 될까. 2007년은 업계도 투자자도 해외주식펀드 투자 경험이 전무했고 정부도 시행 초반 정책을 가볍게 구사했단 평가와 더불어 일관성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다.
2016년 해외펀드 비과세는 달라졌다. 이미 정부가 오래 전부터 논의해온 사안이고 그만큼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논의가 이뤄졌고 장치도 더해졌다. 누군가에게는 기회가 생긴 것이다. 녹록지 않은 국내 증시, 투자의 눈을 바다 건너로 넓힐 기회와 더불어 과도하던 세제부담도 줄일 수 있게 된 만큼 근본적인 수익률 제고에 집중할 때다.
과거 망령을 되새기기엔 시간이 짧다.
차현정 증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