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중저속 성장과 경착륙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한국기업들의 '플랜B' 마련 등 대응책 마련을 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포스코경영연구원의 '신창타이 중국경제, 낙관론을 경계해야할 시점'에 따르면 중국 증시가 올초부터 급락세를 보이면서 경제 위기론이 재부상하고 있다. 상해 주식시장은 2014년11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113% 급등했다. 6월부터 8월말까지 38% 급락한 이후 지난해 12월말부터 올해 이달 초까지 다시 15% 하락했다. 단기차입 등으로 유발된 거품이 증시 폭등을 초래했지만 거시지표 악화 및 위안화 평가 절하 등으로 중국 경제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으로 바뀌면서 2차 조정기를 맞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9월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위해 만나 악수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문제는 증시 하락보다 중국의 주요 실물경기지표들을 비롯한 경제 펀더멘털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2009년 11월 18.7% 상승했지만 지난해 11월 6.2%까지 하락해 금융위기 당시 저점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출 증가율은 2010년 5월 43.5% 까지 급등했지만 이후 계속 떨어져 지난해 3월부터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구조적인 문제가 누적되면서 중국의 성장잠재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중국의 GDP대비 투자비중은 개혁개방 이래로 평균 40%를 유지하고 있다. 과도한 투자 중심 성장에 따른 공급과잉 심화로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다. 생산자물가는 지난해 11월까지 45개월간 연속 마이너스 상태다.
중국정부는 지급준비율 및 금리 인하 등의 전통적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게다가 동부연안 중심의 성장으로 중서부 발전 잠재력이 크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중국 경제의 붕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시장이 여전히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고, 중국 정부가 증시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등 정부 자체 증시관리 능력의 불투명성과 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중국 경제에 대한 관성적인 낙관론은 경계해야할 시점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중국 경제가 경착륙하지 않는다고 해도 성장속도 둔화와 수요감소 등 중국 경제의 신창타이로의 전환은 철강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GDP성장 둔화는 중국 철강사들의 경영 실적에 가장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주요 산업 경기둔화는 한중일 금속산업의 부가가치 감소를 초래한다. 2011년 기준 중국 건설사업의 최종수요가 1단위 감소하면 한국과 중국, 일본 금속산업의 부가가치는 각각 0.014단위, 0.83단위, 0.035단위 떨어진다.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 건설산업 최종수요로 인해 창출되는 부가가치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규모는 커졌지만 비중은 1.8%에서 1.4%로 낮아졌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전반적인 수요 위축은 철강 등 설비과잉 기업들의 대량 파산과 인수합병 등 구조조정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공급측 개혁'을 제시하면서 강력한 구조조정 추진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급과잉 해소 ▲세제개혁 통한 기업원가 절감 ▲부동산 재고 해소 ▲금융위험 회피 등 한계기업 퇴출과 국유기업의 개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가운데 철강산업의 저성장, 저수익 국면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대한 전사적인 차원의 대응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진짜 위기는 지금부터 '라는 위기의식을 갖고 다양한 중국 철강시황 시나리오별 경영계획을 수립해 민첩하게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기존시장의 제품과 서비스를 초월한 신규 니즈를 발굴하고 한중일 공통 주력시장인 아세안 시장에 대한 전략을 재점검해야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또 단기적인 철강시황이 개선되기 요원하기 때문에 유동성 위기에 몰린 철강사들의 연쇄파산, 인수합병 등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중국 철강 구조조정 동향을 밀착 모니터링해 향후 돌발사태에 대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